김강산 전 태백문화원장은 25일 태백시선거관리위원회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이상호 태백시장은 시민들의 의혹을 살만한 행위를 하기에 주민소환을 추진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태백시선거관리위원회가 지난 18일 김강산 전 태백문화원장이 신청한 이상호 태백시장에 대한 ‘주민소환투표 청구인 대표자 증명서’를 교부한 즉시 김 전 원장은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
![](/_resources/10/2023/09/25/2023092516425227806_l.jpg)
김 전 원장은 “태백시가 잘 나가던 1982년 12만 1000명이 넘었는데 9월 현재 인구는 3만 8000여 명으로 4만이 붕괴되고 내년 석탄공사 장성광업소가 폐광하면 3만 인구가 무너질지 모른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런데도 시장은 시민들의 의혹을 자아낼만한 짓을 해 위기에 빠진 태백시를 살리고자 주민소환제를 추진하는 것”이라며 “주민소환제는 법률문제를 따지는 것이 아니며 시민들이 보기에 잘하느냐 못하느냐 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김 전 원장은 주민소환제 추진 사유에 대해 ▲공직자의 윤리 및 개인정보 유출 등 법률위반 ▲태백역 앞 로터리 개조와 기타 불필요한 일로 예산낭비 ▲체육계와 갈등 ▲거짓 MOU체결 ▲시민과 소통부재 등을 꼽았다.
김 전 원장은 “앞으로 2개월간 주민소환 서명에 나설 것”이라며 “이상호 태백시장에 대한 주민소환에 시민 20여 명이 함께 동참해 서명운동에 나서게 된다”고 말했다.
![](/_resources/10/2023/09/25/2023092516455597551_l.jpg)
또한 “추석연휴가 끝나면 본격적으로 주민소환 서명운동에 나서겠다”며 “70대의 나이에 아무런 사심도 없으며 절체절명에 놓인 태백시를 살리고자 주민소환 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까지 태백시는 김강산 전 태백문화원장의 주민소환 추진에 대한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한편 주민소환 투표가 실시되려면 태백시 유권자의 15% 이상인 5124명 이상의 동의가 필요하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