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대출 연체율, 코로나19 시기 수준으로 상승

금감원, 기준금리 인상 영향에 "코로나19 이전으로 회귀"

은행 대출 연체율이 코로나19 위기 당시까지 올라갔다. 기준금리 인상 영향으로 정상화하는 과정이라는 분석이다.

3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4월말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 현황(잠정)' 자료를 보면, 올해 4월말 현재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0.37%였다.

전월말(0.33%) 대비 0.04%포인트 올랐으며 전년동월(0.23%)로는 0.14%포인트 올라갔다.

이 같은 수치는 2020년 8월(0.38%) 이후 2년 8개월 만에 가장 높다. 당시는 코로나19로 인해 경기가 급속히 위축되던 때다.

경제주체별로 대출 현황을 보면, 기업대출과 가계대출 연체율이 모두 증가 추세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전월말(0.35%) 대비 0.04%포인트 오른 0.39%였다. 전년동월(0.28%)에 비해서는 0.11%포인트 올라갔다.

대기업 대출 연체율은 0.09%로 전월과 변동 없었으나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이 전월 대비 0.05%포인트 오른 0.46%에 이르렀다.

같은 기간 중소법인 대출 연체율은 0.06%포인트 오른 0.51%였고 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은 0.04%포인트 오른 0.41%였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전월말(0.31%) 대비 0.03%포인트 오른 0.34%였다. 전년 동월(0.18%)에 비해서는 0.16%포인트 상승했다. 1년 사이 가계대출 연체율이 거의 두 배로 치솟았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이 한달 사이 0.01%포인트 올라 0.21%가 됐다. 전년 동월(0.11%)에 비해서는 역시 거의 두 배인 0.10%포인트가 상승했다.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신용대출 등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전월(0.59%) 대비 0.08%포인트 상승한 0.67%로 집계됐다. 전년 동월(0.35%) 대비 0.32%포인트 상승했다. 역시 두 배 가까운 상승세였다.

ⓒ금융감독원

각 대출 연체율의 장기 추세를 보면 대기업 대출 연체율만 점차 안정화하고 있다. 중소기업 이하 법인과 가계대출 연체율은 모두 최근 들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은 2020년 4월말 당시 0.36%였으나 올해 4월 들어서는 당시 대비 0.05%포인트 올라갔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한동안 하향하는 듯 보이다 올해 4월 들어서는 2020년 4월 수준까지 올라갔다.

금감원은 "국내은행 연체율은 2022년 6월 역대 최저수준(0.20%)까지 내려간 후 상승 추세"라며 "코로나19 기간 기준금리 하락과 정책지원 등으로 장기추세 대비 하락한 연체율이 글로벌 통화정책 정상화 과정에서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즉 세계적인 기준금리 인상 영향으로 경제주체별 대출 연체율이 오르고 있다는 설명이다.

금감원은 다만 "현재 은행권 연체율 수준은 코로나19 이전보다 낮고, 과거 장기 시계열(0.78%) 대비로는 크게 낮은 수준"이라며 "은행은 견조한 자산건전성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은행권을 제외한 비은행권 대출 위험은 커지는 모습이다. 지난달 26일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자영업자 대출 자료를 보면, 올해 1분기 자영업자의 전체 금융기관 대출 연체율은 1.00%를 기록했다. 이는 2015년 1분기(1.13%) 이후 8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자영업자의 은행 대출 연체율은 1분기 0.37%였으나 비은행권 대출 연체율이 2.52%로 높았다. 비은행권 대출 연체율은 2020년 2분기(2.59%) 이후 2년 9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2일 서울시내 한 은행 외벽에 대출 안내문이 써붙어 있다. ⓒ연합뉴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이대희

독자 여러분의 제보는 소중합니다. eday@pressian.com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