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삼뿌리썩음병 '덜 발생하는 토양'은 어디?

농진청, 모종 삼 재배해 병 발생 지수 확인하는 간편 판별법 제시

▲모종 삼을 이용한 생물검정 ⓒ농촌진흥청

농촌진흥청은 모종 삼(묘삼)을 이용해 토양의 인삼뿌리썩음병 발생 여부와 뿌리썩음병원균 억제 능력을 간단히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인삼의 주요 토양병인 인삼뿌리썩음병은 특정 토양에서 억제되는 경향이 있고, 뿌리썩음병원균 밀도는 높지만 병이 덜 나는 토양을 '억제 토양'이라고 한다.

그간 병에 강한 토양이 실제로 존재한다고 알려졌지만, 인삼재배 토양을 대상으로 억제 토양을 찾는 방법은 없었다.

농촌진흥청은 인삼뿌리썩음병의 발생 환경과 원인을 분석하고, 병 발생을 낮추고자 억제 토양을 간편하게 찾을 수 있는 생물 검정법을 개발했다.

생물 검정법이란 병원균에 의한 발병 여부를 검정하기 위해 식물체에 병원균을 접종한 후 병이 난 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진은 투명 아크릴로 만든 재배틀(포트)을 준비해 한 곳에는 '병원균 토양(대조구)', 다른 하나에는 '병원균 토양과 억제 토양을 혼합한 토양'을 넣고 각각에 모종 삼을 심은 뒤 4주 후 뿌리썩음병 발병 정도를 분석했다.

그 결과, 억제 토양을 넣은 재배틀의 병균 밀도는 대조구의 100분의 1 수준이었고, 병 발생 지수(이병지수)는 대조구의 절반 이하로 나타났다.

이번 실험에서는 병 발생 지수 감소가 억제 토양의 영향인지를 검증하기 위한 실험도 진행했다.

억제 토양의 균을 죽이고 다시 병원균을 접종한 결과, 대조구와 비슷한 병 발생 지수가 나타났다.

이로써 억제 토양의 병원균 억제 원인이 미생물 등 생물학적 요인에 의한 것임을 추정할 수 있었다.

인삼 연구기관과 도 농업기술원 등에서 이 기술을 활용하면, 뿌리썩음병 발생 상태와 인삼뿌리썩음병원균 밀도 등을 비교할 수 있다.

억제 토양으로 추정되는 흙 아래․위에 일반 흙을 약간 깔고 모종 삼을 심어 4주 후 토양의 상태를 확인한다.

이때, 병원균 접종 토양보다 인삼뿌리썩음병원균 밀도가 줄고, 병 발생 지수가 감소했다면 뿌리썩음병 억제 토양으로 판단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김동휘 인삼과장은 "이번 기술을 인삼뿌리썩음병의 억제 원인을 밝히고 '억제 토양'을 탐색하는 데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라고 전했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송부성

전북취재본부 송부성 기자입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