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흔적 뿌리 뽑겠다"...경남도의회, '당찬 각오'

일제잔재 청산 조례 제정 토론회..."아직도 다수 친일파 이름조차 몰라"

경술국치(1910년 8월 29일) 110년이 되는 해를 맞아 경남도의회에서 일제잔재 청산을 위한 재조명을 펼쳐 의미 있는 한걸음을 내딛었다.

경남도의회는 11일 '대일항쟁기 일제잔재청산 등에 관한 조례 제정 토론회'를 열고 일제잔재청산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 형성을 위해 조례 제정을 시작으로 실질적인 조치를 취했다.

이 조례에는 일제잔재 청산을 위한 실태조사의 시행근거가 담겨있어 최근 이슈가 된 바 있는 일제잔재로 의심되는 지명과 변경 사업도 한층 더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경남도의회에서 주최한 '일제잔재 청산 조례 제정 토론회' 모습. ⓒ경남도의회

이날 토론회에서 방학진 민족문제연구소 기획실장은 "3.1혁명이 일어나자 친일파들은 신문지상에 앞다투어 글을 발표했다"며 "3.1혁명 참가자들을 회유하고 협박해 독립의지를 꺾기 위한 내용이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들은 친일지주와 유지들을 모아 ‘자제단’(自制團)을 조직해 3.1혁명을 방해했다"면서 "독립불가론을 주장하며 군중들에게 ‘가만히 있으라’고 외친 사람들이 있었는데 대표적인 인물이 이완용, 윤치호, 박중양이다"고 말했다.

방학진 실장은, 일제청산은 일회성·계기성·전시성 사업이 되지 않도록 지속가능성을 모색해 가야한다고 주장한 것이다.

방 실장은 "우리나라 친일파 청산이 얼마나 불철저했는지는 2차 대전 이후 유럽의 나치 부역자 청산과 비교하면 극명하게 나타난다"며 "'친일인명사전' 조차 단지 4389명 만을 기록하고 있고 아직도 절대 다수의 친일파들의 이름조차 모른다"고 밝혔다.

방 실장은 "친일청산 문제를 역사 영역에만 국한해 인식하지 말고 민주시민교육과 자원봉사영역, 평생학습, 문화콘텐츠 창작 활동과 결합할 수 있는 창의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그는 "친일청산은 단순히 축구 한일전처럼 맹목적 반일 감정에 기대서는 안된다"면서 "임진왜란 당시의 일본과 제국주의 일본은 결코 같지 않다. 친일청산은 일본(인) 전체에 대한 반대를 뜻하는 반일이 아닌 제국주의에 대한 반대임을 명확히 해야 한다"고 말했다.

방 실장은 "친일파는 일본인이 아닌 일본 제국주의에 자발적이고 적극적, 반복적으로 동조한 조선인(한국인)이라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고 하면서 "우리 의식 안에 남겨져 복제되고 재생산되고 있는 친일잔재에 대해서도 냉정히 직시해야 한다"고 토론발제 취지를 밝혔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조민규

경남취재본부 조민규 기자입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