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6일 오후 정례브리핑에서 성명을 통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국제사회의 보편적인 반대를 고려하지 않고 다시 핵실험을 진행했다"며 "우리는 조선이 비핵화 약속을 지키고, 상황을 악화하는 그 어떤 행동도 중지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북한이 이번 수소폭탄 시험 계획을 사전에 중국에 알렸느냐는 질문에 화 대변인은 통보받지 못했다고 답했다.
화 대변인은 6자회담 틀 내에서 한반도 비핵화 목표를 추진해 나갈 것이라면서 "우리는 당연히 조선의 고위 관원, 대사를 불러 우리의 엄정한 우려를 제기할 것"이라고 밝혀, 지재룡 주중 북한대사를 초치할 계획임을 밝혔다.
한편 북-중 접경 지역에서는 아직 핵 오염 물질이 검출되지는 않았다. 이에 대해 화 대변인은 "중국의 환경부를 비롯해 관계기관이 이번 사안을 매우 중시하고 있고 이미 전면적인 조사에 착수했다"며 "조사 결과는 실시간으로 공개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정부는 북한의 이번 시험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위반한 것이라고 규탄했다. 미국 국가안전보장회의(NSC) 프라이스 대변인은 <연합뉴스>의 논평 요청에 "북한이 국제적 의무와 약속을 지킬 것을 다시 한 번 촉구한다"면서 "어떤 북한의 도발 행위에 대해서도 적절히 대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일본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는 이날 오후 "지금까지 안보리 결의에 대한 명백한 위반이며, 핵 비확산 대처에 대한 중대한 도전"이라며 "안보리 비상임 이사국으로서 미국, 한국, 중국, 러시아와 연대해 대응한다"고 말했다고 <교도통신>이 보도했다.
통신은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외무상이 "새로운 결의를 요구해야 한다. 독자적인 대응에 대해서도 검토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며 "독자적인 제재 강화가 필요하다는 인식을 제시했다"고 전했다.
또 통신은 "북조선에 의한 납치 문제 협의에도 심각한 영향을 끼쳐 해결이 더욱 멀어질 것으로 추측된다"면서 이번 시험이 북-일 간 일본인 납치자 조사 문제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내다봤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