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째, 안철수신당과의 초반 기세싸움에 대처하는 유일 대안입니다.
안철수신당도 영입작업에 골몰하고 있지만 그 대상은 더민주와는 현격히 다릅니다. '새인물' 영입에 공을 들이는 더민주와는 달리 '구 인물' 영입을 우선시하고 있습니다. 더민주에서 탈당한 기성 정치인뿐만 아니라 원외의 기성 정치인 영입에 매달리고 있습니다. 안철수신당의 이런 행보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입니다. 당의 안정성과 지속성에 대한 국민의 의구심을 불식시키기 위해 '구 인물'을 우선 영입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문제는 이런 필수코스가 어쩔 수 없이 중화작용을 야기한다는 것입니다. 신당다운 참신함, 신당다운 개혁성을 부각하기는커녕 오히려 반감시킨다는 것입니다. 안철수 바람이 거셀 때에는 '안철수'라는 존재만으로 참신함과 개혁성을 충분히 담보할 수 있었지만 그 바람이 잦아든 지금은 '구 인물'이 신당에 풍화작용을 가할 수 있습니다. 함께 할 '구 인물'의 기준을 엄격하게 짜지 않으면 '잡탕 정당'으로 폄하되기에 십상입니다.
안철수신당이 '구 인물' 영입에 골몰하는 동안 더민주가 새 인물-진보적이면서도 전문적인-을 집중 영입하면 야당다운 야당의 면모를 부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철수신당의 참신함과 개혁성에 대한 무언의 문제 제기를 할 수 있습니다. 간단히 말해 혁신 경쟁의 고지를 선점하는 것입니다.
둘째, 선거판에서의 경쟁 또는 연대에 대처하는 유일 대안입니다.
총선에서의 야권 연대 여부를 지금 재는 건 부질없습니다. 일각에서는 안철수 의원이 선거 연대가 없다고 잘라 말했지만 결국은 연대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고 내다보던데 이런 전망은 아주 단순한 전제에 기초한 것입니다. '연대하지 않으면 공멸'이라는 전제 말이죠. 하지만 이 전제는 규범적입니다. '마땅히 그래야 한다'는 규범을 앞세워 '마땅히 그럴 것이다'는 당위적인 전망을 끌어내는 논법입니다. 하지만 정치판이 그런 규범에 충실했다면 작금의 야권 분열 상태가 초래됐을까 하는 또 다른 단순 반문이 딸려 나옵니다. 중요한 건 규범이 아니라 힘입니다. 공학에 기초한 인위적인 물리력이 아니라 표심에 의거한 자연적인 조정력입니다.
표심의 조정력을 좌우할 요인이 바로 혁신의 결과로서의 인물 포진입니다. 얼마만큼의 새 인물을 어떤 진용으로 포진시켜, 어떤 역할을 부여하느냐에 따라 표심의 기울기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표심의 기울기는 경쟁을 통한압도이든 연대를 통한 단일화든 판 정리를 추동할 것입니다.
더민주가 인재영입 속도를 올려 한 주에 한 번씩 발표하던 것을 한 주에 두세 차례 발표할 것이라는 보도가 나오던데요. 방향을 제대로 잡았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인재영입위원장인 문재인 대표가 속도위반을 하고 있다고 지적하던데 그렇지 않습니다. 이런 지적은 영입된 새 인물의 역할을 '출마'로 제한한 데서 비롯된 단견입니다. 새 인물의 역할을 '출마 너머'로, 즉 자기 캐릭터와 콘텐츠를 갖고 전 국민에게 민주-진보의 메시지를 전파하고 관련 이벤트를 연출하는 것으로 설정하면 오히려 지금이 적기입니다. 한편으론 당의 혁신 면모와 자신의 인물됨됨이를 어필하고 다른 한편으론 안철수신당을 견제할 수 있으니까요. 새 인물을 꽃가마 태우고 모셔와 금이야 옥이야 하는 건 당세와 지지기반이 안정적일 때의 이야기입니다. 지금 더민주의 사정을 보면 새 인물을 '부잣집 도련님'으로 대접할 때가 아니라 새 인물에게 '소년가장'의 역할을 주문할 때입니다.
기민하게 새 인물을 영입하고 적절하게 새 인물을 배치하는 것, 이건 야권분열과 선거판에 대처하는 더민주의 유일대안입니다. 다만 경계할 건, 절실함이 지나쳐 구애를 남발하는 경우입니다. 구애를 남발하다가 진보성 강화나 도덕성 정립과는 거리가 먼 인물을 덜컥 영입하는 경우입니다. 그렇게 정치적 '뻑'을 연출하는 경우입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