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일제 청산" 15일부터 표준시 변경

기존 시간보다 30분 늦은 표준시 적용…우리는?

북한이 오는 15일부터 기존에 사용하던 일본 표준시를 변경하겠다고 발표했다. 동경 135도에 맞춰있던 표준시를 한반도 중앙을 지나는 동경 127.5도를 기준으로 삼아 지금보다 30분 늦추겠다는 것이다.

북한 관영 매체 <조선중앙통신>은 7일 "동경 127° 30'(127.5도)을 기준으로 하는 시간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표준시간으로 정하고 평양시간으로 명명한다"며 "평양시간은 8월 15일부터 적용한다"고 보도했다.

북한의 표준시 변경은 광복 70주년을 맞은 일제 잔재 청산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통신은 "간악한 일본 제국주의자들은 삼천리 강토를 무참히 짓밟고 전대미문의 조선 민족 말살정책을 일삼으면서 우리나라의 표준시간까지 빼앗는 천추에 용서 못할 범죄행위를 감행했다"며 표준시 변경의 배경을 밝혔다.

통신은 그러면서 "피로 얼룩진 일제의 백년죄악을 결산하고 민족의 자주권을 굳건히 수호하며 백두산대국의 존엄과 위용을 영원토록 세계만방에 떨쳐나가려는 것은 조선 군대와 인민의 신념이며 의지"라고 덧붙였다.

북한의 이번 조치가 시행되는 오는 15일부터 남북 간에는 30분의 시차가 발생한다. 이것이 기존의 남북 교류에 어떤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보느냐는 질문에 통일부 정준희 대변인은 8일 정례브리핑에서 "당장은 개성공단 출·입경 등 남북교류에 약간의 지장이 초래될 것 같다. 장기적으로 볼 때는 남북통합, 표준통합, 그리고 남북동질성 회복 등에 지장을 초래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표준시, 1시간 단위로 설정하지 않은 국가도 많아

정준희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표준시는 국제적으로 인접한 국가의 자오선을 쓰게 돼 있다"며 "우리는 중국 쪽에 있는 120도와 도쿄 쪽을 기준으로 하는 135도의 중간에 위치해있는데, 동쪽을 쓰는 것이 일반적이고 국제적인 관례이며 실용적인 측면이 있다"고 밝혔다.

정 대변인의 언급대로 실제 세계 많은 국가들은 인접한 국가의 자오선을 기준으로 표준시를 정한다. 세계 표준시는 지난 1884년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만국지도회의'에서 결정됐는데, 이 회의에서 참가국들은 영국 그리니치 천문대를 통과하는 경선을 '본초 자오선'으로 정하고 경도 15도를 지날 때마다 1시간의 시차를 두기로 했다.

▲ 영국 그리니치 천문대

1시간 단위로 표준시를 정해야 시간 환산이 편리하다는 이점 때문에 많은 국가들은 자국의 실제 시간과 조금 차이가 있더라도 인접국의 자오선에 시간을 맞춰왔다.

하지만 각국이 처한 상황과 배경에 따라 1시간 단위를 표준시로 쓰지 않는 국가도 있다. 예를 들어 네팔의 경우 한국과 3시간 15분의 시차가 난다. 15분 단위의 표준시를 적용하고 있는 것인데, 이는 네팔이 인도의 속국이 아니라는 국가적 정체성을 드러내기 위함이다. 뿐만 아니라 인도와 이란, 아프가니스탄, 미얀마, 호주 일부 지역과 같이 30분 단위의 표준시를 적용하고 있는 국가들도 상당수 존재한다.

한국, 일본 표준시 쓰게 된 이유는

조선시대까지만 해도 한국은 한반도의 중앙 경도를 지나는 자오선인 127.5도를 기준으로 한 표준시를 사용했다. 이후 1908년 2월 7일 대한제국 표준시 자오선이 정식으로 공포되기도 했다. 하지만 1910년 한일합방 이후 일본은 1912년 1월 1일부터 한국의 표준시를 동경 135도를 기준으로 한 일본 표준시로 변경했다.

▲ 조선시대 해시계 앙부일구 ⓒ프레시안 자료사진

1945년 해방 이후 잃어버린 표준시를 되찾아오자는 움직임도 있었다. 그러나 당시 남한을 통치했던 미군은 작전상의 편의를 이유로 들어 일본 표준시를 고수했다. 한국 전쟁 이후 1954년 3월 127.5도를 표준자오선으로 하는 표준시가 다시 지정됐지만 1961년 박정희를 필두로 한 군부 쿠데타 이후 한국은 다시 일본 표준시를 사용하게 됐다. 이는 지금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이에 일부에서는 한국의 실제 시간에 맞게 표준시를 변경해야 한다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일제 강점기 때 강제로 바뀐 표준시가 제자리를 찾아야 한다는 의견이다. 특히 민족주체성과 동일성을 확립한다는 차원에서 표준시 제정을 남북이 함께 논의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60년 이상 사용한 표준시를 하루아침에 변경하게 될 경우 발생할 사회적 혼란과 비용을 감안했을 때 표준시 변경은 무리한 처사라는 지적도 있다. 시간에 민감한 증권, 금융, 항공 등의 업계에서 표준시 변경에 난색을 표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