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초 사분위는 30일 전체 회의를 열고 상지대 정이사 선임 안을 처리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교과부는 "정이사 후보 명단이 제대로 제출되지 않아 심의 자체가 이뤄지지 못했다"고 밝혔다.
교과부는 이날 사분위 본회의에 교과부 추천 몫 정이사 2명의 후보 명단을 추천권을 제출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상지대 쪽도 2명의 정이사 후보를 추천하지 않았다. 김문기 전 이사장 쪽 5명 정이사 후보를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이유였다.
그간 교과부는 구재단 측에 추천인 명단을 재고해줄 것을 수차례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교과부 등에 따르면 구재단 추천 인사에는 김문기 전 이사장을 포함해 그의 친인척들이 들어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종 결정만 미뤄졌을 뿐 달라진 것은 없다"
상지대 비상대책위원회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교과부 장관이 추천이사 명단을 보고 '있을 수 없는 명단'이라고 평가했을 정도로, 몰상식한 김문기 전 이사장의 복귀 기도에 대해 사분위가 거부한 것은 너무나도 당연한 조치"라고 밝혔다.
안민석 민주당 의원에 따르면 안병만 교과부 장관은 28일 열린 민주당 소속 국회 교육과학위원들과의 면담 자리에서 김문기 전 이사장이 제출한 5명의 이사 후보 명단을 두고 "있을 수 없는 명단이다. 30일 회의에서 상지대 건을 처리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상지대 비대위는 "하지만 사분위가 4월 29일 결정한 김문기 전 이사장에 대한 경영권 회복조처가 여전히 유효하다"며 "경각심을 갖지 않을 수 없다"고 했다. 비대위는 "단지 최종 결정만 미뤄졌을 뿐 달라진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평가했다.
비대위는 "이번 최종확정 연기를 통해 김문기 씨가 경영권을 회복할 최소한의 도덕적 자질도 갖추지 못했다는 게 백일하에 드러났다"며 "따라서 사분위와 교과부는 4월 29일 결정을 백지화해 원점에서 재검토함으로서 새로운 대안을 만들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