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버트 깁스 백악관 대변인은 8일 정례브리핑에서 "(테러지원국 재지정을 요구한) 상원의원들의 편지와 관련해 받은 질문이었다는 점을 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클린턴 장관의 전날 발언은 질문에 대한 답변일 뿐 능동적인 입장에서 나온 얘기가 아니라는 것이다.
깁스 대변인은 "클린턴 장관이 인터뷰에서 언급한대로 (테러지원국 지정을 위한) 법령은 명확하며 일련의 필요조건들이 명백히 있다"면서 "주된 초점은 우리가 국제적으로 어떤 조치들을 취할 수 있느냐는 점"이라고 덧붙였다.
이언 켈리 국무부 부대변인도 "의회가 국무부에 테러지원국 재지정 가능성을 검토해 보기를 원한다고 보낸 서한과 관련해서 언급한 것"이라면서 현 단계에서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재등재하기는 어려움을 내비쳤다.
켈리 대변인은 "클린턴 장관의 발언은 우리가 이 문제를 들여다보기 시작했다는 것"이라면서 "테러지원국으로 재지정하려면 반드시 법적 절차가 뒤따르고 국무장관은 북한이 반복적으로 국제테러를 지원했다는 최근 증거가 있음을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상원의원들이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재지정하는 문제를 전체적으로 다시 살펴봐달라고 국무부에 요청한 만큼 국무장관으로서 대응하고 있다고 봐야 한다면서 "의회가 요청하면 이를 살펴보는 것은 하나의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색스비 챔블리스 상원의원 등 공화당 소속 상원의원 8명은 지난 3일 북한의 최근 도발행위와 관련해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재지정해 달라고 요구하는 서한을 클린턴 장관에게 보냈다.
이에 클린턴 장관은 지난 7일 <ABC> 방송 인터뷰에서 관련 질문이 나오자 '검토'를 언급했다. 이에 국내 일부 언론들은 마치 미국이 테러지원국 재지정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는 뉘앙스로 기사를 썼고, 전문가들은 언론들이 발언 의미를 과장했다고 지적했다. (☞관련 기사 : 정세현의 정세토크 "북한·북핵 보도, 혹세무민은 이제 그만")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