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통일부 당국자는 기자들과 만나 "오늘(30일) 남북 연락대표 간 협의를 통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위험이 완전히 해소될 때까지 연락사무소 운영을 잠정 중단하기로 했다"며 구체적인 중단 시점과 남한 인원들의 철수 문제 등 구체적 사안에 대해 남북 간 협의가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이날을 기준으로 연락사무소에는 사무소 관계자 17명과 지원 인력 41명 등 총 58명의 남한 인원들이 개성에 체류해있다. 이들의 복귀 시점은 아직 구체적으로 정해지지 않았으나, 정부는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철수를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정부는 연락사무소의 기능이 회복될 때까지 서울-평양 간 전화 및 팩스선을 구축해 남북 연락망을 가동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지난 2018년 4월 27일 열린 남북 정상회담의 결과로 같은해 9월 문을 연 남북공동연락사무소가 이번과 같이 남북한 인원들이 모두 철수하는 방식으로 잠정 중단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해 2차 북미 정상회담이 결렬된 이후 북한이 같은해 3월 연락사무소에서 철수하겠다는 뜻을 밝힌 적은 있으나 실제로는 북측 모든 인원의 철수로 이어지지는 않았었다.
이에 방역체계가 취약한 북한이 코로나바이러스가 북한 내로 확산되는 것에 대해 상당한 경계심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남한에 이같은 요청을 선제적으로 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북한이 먼저 사무소 잠정 중단을 요청했냐는 질문에 이 당국자는 구체적 답변을 피하면서도 "북측에서 (28일) 국가 비상 방역체계로 전환하면서 검역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이 있었다"고 말해 사실상 북한의 필요에 의한 것임을 시사했다.
그는 "오늘 <노동신문>(북한 노동당 기관지)에 비상설중앙 인민보건 중앙위원회라는 기관이 나왔는데 기존에 알려졌던 비상방역위원회와는 다른 명칭"이라며 "신설된 것인지는 향후 추이를 봐야겠지만 이같은 북한의 행동은 과거와는 다른 이례적 동향으로 봐야될 거 같다"면서 북한이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을 상당히 경계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 당국자는 "(코로나바이러스 위험 인지 이후) 계속 관련해서 남북 연락대표 간 논의가 이뤄졌고 관련 협의가 진행돼왔다"며 그간 상황을 설명했다.
한편 연락사무소의 재개 시점에 대해 남북이 아직 확정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안그래도 침체 국면인 남북관계가 당분간 회복 계기를 마련하기가 더 어려워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사무소의 재개 시점과 관련 이 당국자는 "아직 그 부분에 대해 기준이라고 이야기할 수는 없다"고 밝혀 사무소의 재개는 이후 코로나바이러스의 경과 및 남북 간 협의를 거쳐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