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계가 강선우 전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의 자진 사퇴에 환영 입장을 내놓았다.
한국여성의전화는 23일 입장문을 통해 "능력과 자질 부족이 여실히 드러난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사퇴했다"며 "임명을 강행했다면 여성가족부의 퇴보가 불보듯 뻔한 인사였음에 다행스러운 일"이라고 밝혔다.
단체는 "이재명 대통령은 여성가족부의 목적인 '성평등 정책 기획·총괄, 젠더 기반 여성폭력 예방·피해자 보호'를 제대로 된 관점을 기반으로 명확하게 추진할 수 있는 후보자를 지명하라"면서 "'역차별 해소'라는 어불성설로 성평등 실현과 여성폭력 해결을 방관하는 자, 수많은 시민들이 촉구해 온 차별금지법 제정과 강간죄 개정을 '사회적 합의'라는 변명으로 방기하는 자는 다시는 안 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오늘 이 정부가 있기까지 민주주의와 성평등 실현을 외친 시민들의 뜻을 겸허히 받들어라"라고 촉구했다.
한국여성의전화를 비롯한 116개 여성시민단체는 다음 날인 2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강 후보자에 대한 지명 철회 촉구 기자회견을 열 예정이었으나, 강 후보자가 자진 사퇴하면서 기자회견도 취소했다.
앞서 한국여성단체연합, 한국여성정치네트워크, 한국여성의전화,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여성인권위원회와 소수자인권위원회 등 여성단체는 성명을 통해 "불평등한 권력관계에서 발생한 문제의 본질을 인식하지 못하고 성평등 정책에 대한 철학과 의지가 부족하다",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드러난 정책적 무능과 성평등·인권 정책에 대한 무책임한 회피, 그리고 도덕적 자질에 깊은 우려를 표한다"며 이 대통령을 향해 강 후보자에 대한 지명 철회를 촉구했다.
지난 달 23일 여가부 장관으로 지명된 강 후보자는 각종 갑질 의혹에 휩싸여 여론이 악화하자 지명 30일 만인 23일 "여기까지였던 것 같다"며 사퇴 의사를 밝혔다. 강 후보자의 자진 사퇴 입장 발표 직후 대통령실은 "국민 눈높이에 맞는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를 조속히 찾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