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희경 한국당 대변인은 29일 오전 "황 대표는 건강 악화에 따른 가족, 의사의 강권과 당의 만류로 단식을 마쳤다"며 "어제 오후부터 미음을 조금씩 섭취하며 건강을 회복 중"이라고 밝혔다.
전 대변인은 "황 대표는 향후 전개될 공수처법, 연동형 비례대표제 선거법 저지와 '3대 친문농단'의 진상규명에 총력 투쟁을 해나가겠다고 했다"면서 이같이 전했다.
황 대표는 당 소속 최고위원·국회의원들의 '동조 단식'도 만류했다고 전 대변인은 밝혔다. 전 대변인은 "(황 대표는) 청와대 앞에서 단식투쟁을 이어가고 계신 정미경 최고위원, 신보라 최고위원의 나라사랑 충정에 깊은 감사를 표하며 '그렇지만 이제 단식을 중단하고 함께 투쟁하자'고 부탁했다"고 했다.
황 대표의 단식농성은 지난 20일부터 시작됐고, 단식 8일차인 지난 27일 밤 급격한 건강 악화 증세를 보여 병원으로 이송됐다.
황 대표의 단식과 병원 이송으로 인해 한국당 내에서는 패스트트랙 법안 처리에 대한 '협상론'보다는 '강경론'이 불거졌던 바 있다. 다만 황 대표가 단식을 중단하면서 이같은 당내 기류에 변화가 일지 주목된다. 황 대표가 단식농성 '출구 메시지'에서 패스트트랙 법안 처리 외에 이른바 '3대 친문농단' 의혹을 언급한 점도 눈길을 끈다.
나경원 한국당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김기현 전 울산시장에 대한 황운하 전 울산지방경찰청장의 '정치 수사' 의혹 △유재수 전 부산시 경제부시장에 대한 감찰 무마 의혹 △우리들병원 대출 특혜 의혹 등 이른바 "3종 친문농단 게이트"에 대해 "문재인 정권의 권력형 게이트로 번지고 있다"고 주장하며 국정조사를 촉구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