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는 이날 "대검찰청 검찰과거사진상조사단(이하 조사단)이 지난해 말부터 김학의 사건을 재조사하는 과정에서 검찰과 경찰로부터 확보한 2013년 당시 1차 수사기록에 포함된 윤 씨의 전화번호부, 압수된 명함, 다이어리 등을 재검토하면서 '윤석열'이란 이름을 확인했다"고 보도했다.
또 "조사단은 윤 씨를 불러 과거 윤 총장과 친분이 있었다는 진술을 확보했다"며 "강원도 원주 소재 윤 씨 별장에서 윤 총장이 수차례 접대를 받았다는 진술도 받아냈다"고 보도했다.
이어 조사단은 이런 윤 씨의 진술을 보고서에 담아 검찰에 넘겼지만 "'김학의 전 차관 사건 검찰수사단'(단장 여환섭 청주지검장)은 윤 총장과 윤 씨의 관계, 접대 사실 여부 등에 대한 기초적인 사실 확인 노력조차 하지 않은 채 김학의 사건 재수사를 매듭지었다"고 한겨레는 보도했다.
이를 뒷받침하는 근거로 한겨레는 "'김학의 성접대 사건' 재수사 과정에 대해 잘 아는 3명 이상의 핵심 관계자를 취재한 결과"라고 밝혔다.
대검찰청은 즉각 한겨레 보도에 대해 "윤 총장은 윤 씨와 전혀 면식조차 없다. 당연히 그 장소(별장)에 간 사실도 없다"며 "완전한 허위사실"이라고 부인했다.
대검 대변인실은 "사전에 해당 언론에 사실무근이라고 충분히 설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근거 없는 허위 사실을 기사화한 데 대하여 즉시 엄중한 민형사상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검은 또 "중요 수사가 진행되는 상황에서 이런 허위의 음해기사가 보도되는 것은 대단히 유감"이라며 "검찰총장 인사검증 과정에서도 이러한 근거 없는 음해에 대하여 민정수석실이 검증하고 사실무근으로 판단한 바도 있다"고 밝혔다.
대검의 해명은 청와대 민정수석실도 윤 총장에 대한 인사검증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해당 의혹을 파악하고 있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6월 17일 새 검찰총장 후보로 윤 총장을 지명했으며, 당시 청와대 민정수석은 조 장관이었다.
한겨레 보도가 사실이라면, 윤 총장은 물론이고 민정수석으로서 이를 사전에 걸러내지 못한 조 장관도 부실 검증 책임론을 피하기 어려워진다. 조 장관과 윤 총장이 벼랑 끝 대치를 이어가는 시점에 제3의 진실 공방까지 겹치면서 '조국 블랙홀' 정국은 어떤 결론이 나더라도 문재인 정부에 적지 않은 상처를 남기게 될 전망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