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원·역무원 등 코레일 비정규직, 파업…"임금인상, 4조 2교대 전환"

"기획재정부 인건비·정원지침에 가로막혀…바꿔낼 것"

코레일에 간접고용된 콜센터 상담원, 매표 역무원 등이 임금인상, 4조 2교대제 전환 등을 요구하며 파업에 돌입했다.

전국철도노동조합 코레일네트웍스지부와 철도고객센터지부는 20일 서울 용산 서울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실질임금 인상과 4조 2교대 전환, 상시지속 업무 직접고용을 이루기 위해 파업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두 지부에는 국토교통부 산하 기타공공기관이자 용역형 자회사인 코레일네트웍스에 고용된 콜센터 상담원, 매표 역무원, 주차관리 직원, 질서유지 직원 등이 가입해 있다.

노조는 이날부터 전 조합원 순환 파업에 돌입한다. 이후로도 사측의 입장 변화가 없으면 오는 29일 전 조합원 1차 경고 파업, 이어 다음달 초 전 조합원 2차 경고파업 및 무기한 파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노조는 앞서 지난 10월 14일 2차 조정 회의에서 중앙노동위원회가 노조 요구와 관련한 조정안을 제시했으나 사측이 "기획재정부 지침 때문에 받을 수 없다"며 거부해 파업에 이르게 됐다고 밝혔다.

사측이 말한 기재부 지침은 공기업, 준정부기관의 올해 총인건비 인상률을 3%로 묶은 예산운용지침과 공공기관의 정원을 제한한 지침을 뜻한다. 이에 대해 노동계에서는 공기업, 준정부기관 노동자들의 노동3권을 제약하는 것이라는 비판이 있어 왔다.

노조는 "국제노동기구(ILO) 결사의 자유 위원회도 한국 정부에 공공기관 노동자가 지침 수립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요구했지만, 정부는 지금까지 묵묵부답"이라며 "기재부 지침을 넘어 더 안전하고 인간적인 노동환경을 만들기 위한 싸움"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기획재정부에 "총인건비 지침 폐기"와 "4조 2교대 인력 충원 승인"을, 코레일에 "상시지속 업무 노동자 직접고용"과 "4조 2교대" 시행을 요구했다.

김종호 코레일네트웍스지부 쟁의대책위원장은 "노동자와 단체교섭을 무시하고 중노위마저 무력화하는 기재부 지침을 용납할 수 없다"며 "기재부의 벽을 넘고, 자회사 차별 구조를 넘고, 공공부문 전체 노동자의 미래를 열기 위해 싸우겠다"고 밝혔다.

조지현 철도고객센터지부 쟁의대책위원장은 "국가 지침과 공공기관 구조가 함께 노동자의 임금을, 삶을 억누르고 있다"며 "구조적 왜곡을 바로잡기 위해 이 문제를 끝까지 제기할 것"이라고 했다.

▲한국철도공사(코레일) 본사. ⓒ연합뉴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최용락

내 집은 아니어도 되니 이사 걱정 없이 살 수 있는 집, 잘릴 걱정하지 않아도 되고 충분한 문화생활을 할 수 있는 임금과 여가를 보장하는 직장, 아니라고 생각하는 일에 아니라고 말할 수 있는 나, 모든 사람이 이 정도쯤이야 쉽게 이루고 사는 세상을 꿈꿉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