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호칭에 윤석열 '발끈'…"김건희가 뭐냐? 뒤에 여사를 붙이든 해야"

윤석열 전 대통령이 자신의 체포 저지(특수공무집행 방해) 혐의와 관련한 재판에서 경호처에 비화폰 서버 기록을 삭제하라고 지시했다는 특검의 주장에 대해 "비화폰 기록 삭제는 이뤄지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윤 전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특검이 '김건희'라고 호칭하자 "여사를 붙이라"고 요구하기도 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35부(백대현 부장판사)는 31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특수공무 집행방해 등 혐의와 관련해 공판을 열었다. 윤 전 대통령이 출석한 이날 공판의 쟁점은 윤 전 대통령이 김성훈 전 대통령경호처 차장에게 비화폰 서버 기록 삭제를 지시했는지 여부였다.

증인으로 나온 김성훈 전 차장은 윤 전 대통령이 "'수사받는 사람들의 비화폰을 그대로 놔두면 되겠느냐. 아무나 열어보는 게 비화폰이냐. 조치해야지'라고 말씀하셨다"고 말하면서도 이것이 '삭제 지시'가 아니라 '보안 조치' 지시라고 주장했다. 김 전 차장은 "전혀 삭제 지시를 할 이유가 없다"며 "김 전 본부장이 삭제 지시라는 단어를 써서 제가 보안조치를 하라고 정정하기도 했다"고 주장했다.

윤 전 대통령은 직접 발언을 통해 "비화폰을 처음 받고 경호처장에게 통화내역이 어떻게 관리되냐고 물었더니 정권이 바뀔 때 전부 삭제하고 다음 정권에 넘겨준다고 했다"며 "이틀 만에 삭제되는 것도 아니고, 실제 통화내역이 남아 있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경호 목적 때문에 상당 기간 (기록을) 갖고 있다"며 "삭제 이런 건 이뤄지지 않는다는 걸 말씀드린다"고 주장했다.

비화폰 서버 기록을 삭제하라고 지시한 적이 없다는 취지다.

특검팀은 이날 재판에서 지난해 12월 김건희 전 코바나 대표와 김 전 차장이 주고받은 텔레그램 메시지도 공개했다. 특검팀은 "당시 영부인이던 김건희가 압수수색에 대해 피고인이 우려한다는 취지의 말을 증인에게 하는 내용"이라며 "당시 피고인은 압수수색을 저지하려는 인식을 하고 있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윤 전 대통령은 대통령실이 군사보호구역이라 압수수색 영장 집행 자체가 불가능하다고 주장하는 과정에서 특검팀에 "그리고 아무리 그만두고 나왔다고 해도 김건희가 뭐냐"며 "뒤에 여사를 붙이든 해야 한다"고 불쾌한 심정을 드러냈다.

▲윤석열 전 대통령 ⓒ연합뉴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박세열

정치부 정당 출입, 청와대 출입, 기획취재팀, 협동조합팀 등을 거쳤습니다. 현재 '젊은 프레시안'을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쿠바와 남미에 관심이 많고 <너는 쿠바에 갔다>를 출간하기도 했습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