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익표 "이상경 물러나도 '집 지키려 차관직 내놓나' 얘기 나와"

부동산 민심 악화 우려…"10.15는 단기적 조치, 임대시장 불안해지면 與 부담"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를 지낸 홍익표 전 의원이 이상경 전 국토교통부 1차관의 '집값이 안정되면 집 사면 된다' 발언으로 인한 논란이 이 전 차관의 사퇴에도 불구하고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하며 민심 악화를 우려했다.

홍 전 의원은 27일 한국방송(KBS) 라디오 인터뷰에서 이 전 차관 발언 논란에 대해 "처음에 발언 자체도 적절치 않았다"며 "두 번째 문제가 되는 것은, 이후 수습하는 과정에서 사과가 너무 형식적이었다. 그때 사과라도 제대로 하고 뭔가 바로잡으려고 하는 노력이 있었으면…"이라고 아쉬움을 표했다.

그는 "본인이 분당에 있는 갭투자 형태의 그것(부동산)을 해소하겠다든지 이런 얘기를 적극적으로 했어야 하는데 하지 않았다"며 "그러니까 물러났음에도 불구하고 '30~40억대 자기 집 지키려고 차관직 내놓은 거 아니냐'는 얘기가 또 나오는 것"이라고 했다.

그는 "특히 10.15 부동산 대책을 주도했던 일부 고위관료 등이 소위 강남 3구 지역에 집을 갖고있고 갭투자 형식으로 추가적인 부동산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정책 신뢰성이 문제가 생기니까 이 전 차관을 직에 두기는 어려웠던 것 같다"고 지적했다.

홍 전 의원은 "아마 전수조사하면 강남에 집 가진 사람은 국민의힘이 훨씬 더 많을 것이고, 언론 보도를 보면 우리(민주당)는 180명 중에 18명으로 한 10%정도이고 국민의힘은 100명 중에서 38명이니 38% 가까이"라고 야당의 공세에 나선 것은 부적절하다고 역비판하면서 "사실 10.15 부동산 대책이 매우 단기적이고 불가피한 조치라는 건 (모두) 알고있다. 그렇다면 앞으로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어떤 방식으로 가야 될 거냐(를 고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이번 10.15 대책 및 그 효과가 만심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부동산 문제가 사실은 서울·수도권 인근을 뺀 나머지와는 관련이 없는 이슈이다 보니 전국적 민심 동향에는 그다지 영향을 안 줬을 가능성이 높다"면서도 "다만 내년 6월 지방선거가 서울과 수도권이 굉장히 접전이다 보니까 민주당과 정부·여당 내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있는 것"이라고 짚었다.

그는 특히 "10.15 부동산 대책의 파급 효과는 아직까지 (민심이) 체감하지는 못할 것"이라며 "이 문제가 여론에 곧 정상적으로 반영되는 시점은 제가 보기에는 한 11월 말쯤"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오늘부터 벌써 여러 언론 보도에 전월세 가격 상승 얘기가 일부 나온다"며 "만약 이로(10.15 조치로) 인해 임대 시장이 급격하게 불안해진다면 정부·여당으로서도 상당한 부담이 되지 않을까"라고 우려했다.

▲더불어민주당 홍익표 전 원내대표(자료사진). ⓒ연합뉴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곽재훈

프레시안 정치팀 기자입니다. 국제·외교안보분야를 거쳤습니다. 민주주의, 페미니즘, 평화만들기가 관심사입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