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서영교·부승찬 의원이 제기한 '조희대-한덕수 회동설'과 관련해 "원내지도부 차원에서 같이 공동 대응하는 차원은 지금은 아니"라고 거리를 뒀다. 대신 의혹의 진위 여부보단 '국민들의 사법불신'을 이번 상황의 핵심으로 제기하며 논점 변경에 주력했다.
김현정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22일 문화방송(MBC) 라디오 인터뷰에서 '조회대 회동설' 의혹 제기와 관련해 "아직 이 사안과 관련해서 원내지도부 차원에서 같이 공동 대응하거나 그런 차원은 지금은 아니다"라며 "개별 의원들이 헌법기관으로서 의혹 제기하고 있는 단계"라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의혹에 대해서 조 대법원장이 부인했으니까 그 진위를 따지기 위해서는 특검으로 수사하자는 것이 민주당의 입장"이라면서도, '의혹제기에 신빙성이 있다고 판단하나' 묻는 질문엔 구체적인 답을 피했다.
김 대변인은 당 차원에서 제보의 신빙성 검증 여부를 묻는 데에도 "의혹을 제기한 의원들은 그것이 신빙성이 있다고 판단하고 의혹을 제기한 것"이라고만 했다. 의혹 제기가 당 차원이 아닌 '개별 의원의 활동'이란 점을 재차 강조한 것.
그는 부 의원이 대정부질문에서 해당 의혹을 제기한 것과 관련, '대정부질문 내용은 원내지도부하고 공유하지 않나'고 묻자 "기본적인 내용들은 공유하지만 정확한 의혹, 어느 정도의 물증을 가지고 하는 건지 이런 구체적인 내용들까지 공유하지는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박상혁 원내소통수석부대표도 이날 YTN 라디오 인터뷰에서, "대법원장은 이미 지난 대선 당시에 선거 개입으로 국민들로부터 신뢰를 잃어버렸고 그로 인해서 결국 사법부가 국민들로부터 불신받는 좌초 위기에 있는 것"이라며 "그런 부분에 우리들이 비판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회동설보단 대법원의 이재명 대통령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파기환송을 통한 정치 개입 의혹 등을 '조희대 사퇴론'의 핵심 요건으로 제시한 셈이다.
박 수석부대표는 "대법원장이 지난번에 보였던 정치 개입을 통해서 계속 사법부가 신뢰를 잃어갔을 때 오히려 더 헌정의 위기가 오는 것은 아닌가라는 걱정 때문에 이런 문제들을 제기한 것"이라며 "지금 여러가지 고발이 들어가 있고 그 과정 속에서 수사를 통해서 이루어지면 된다"고 거듭 강조했다.
홍익표 전 원내대표는 이날 한국방송(KBS) 라디오 인터뷰에서 "(민주당은) 이 '4인 회동' 진위 여부와 무관하게 (조희대) 사퇴론을 얘기했던 것"이라며 "도리어 (당 안팎에선) 이 회동설이 나오면서 논란이 좀 이상하게 다른 쪽으로 튀는 것에 대해서 조금 우려가 있는 것 같다"고 했다.
홍 전 원내대표는 "정치적 중립성 문제, 사법개혁 등과 관련돼서 조희대 대법원장이 뭔가 책임져야 되는 거 아니냐, 본인의 거취를 포함해서. 이런 게 민주당의 기본 입장"이라며 "회동설 진위 여부에 따라서 (회동설이 사실이) 아니면 사퇴를 안 하고... 그걸로 간 거에 대해서 '이건 아닌데' 싶은 생각은 내부적으로 있는 것 같다"고 당내 분위기를 전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