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소액결제 해킹, 최소 한 달 전부터 발생…대응 늦어 피해 확산

황정아 의원 "재발 방지 위해 강력 제재 필요"…국회서 제도 개선 요구

▲황정아 의원이 국화에서의 질의하는 모습. ⓒ황정아 의원실

KT 소액결제 해킹 사태가 최소 지난달 초부터 이어져 온 것으로 드러나 파문이 일고 있다.

경찰이 지난 9월1일 통보한 이후에도 100건이 넘는 무단 결제가 발생하면서 KT의 축소·은폐가 사태를 키웠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황정아 의원(대전 유성 을)이 KT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8월5일부터 9월3일까지 피해 고객 278명의 소액결제 건수는 총 527건으로 집계됐다.

피해는 총 16일에 걸쳐 발생했으며 최초 발생일은 8월5일로 언론 보도보다 한 달 앞선다.

초기에는 하루 한 자릿수에 불과했지만 8월21일과 26일 각각 33건, 27일에는 106건으로 폭증했다.

이후에도 결제 건수는 두 자릿수를 오가며 뚜렷한 증가세를 보였다.

일각에서는 8월21일을 기점으로 피해가 확대된 점을 들어 해커들이 사전에 ‘예행연습’을 거쳤을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특히 KT는 이달 1일 수사기관으로부터 피해 분석을 요청받았음에도 적극 대응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로 2일과 3일 이틀간 발생한 피해 건수만 109건에 달했다.

이 같은 정황에 대해 KT가 사실상 사태를 축소·은폐해 피해 확산을 초래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황정아 의원은 “최소 8월5일부터 이상 신호가 있었음에도 KT의 미온적 태도로 피해가 확대됐다”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즉각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축소·은폐 행위를 철저히 밝혀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재발 방지를 위해서는 막대한 경제적 제재가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문상윤

세종충청취재본부 문상윤 기자입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