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이 고교학점제 교육과정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2026년 고교학점제 학교 공간조성사업’ 대상학교를 선정했다.
27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고교학점제 학교 공간조성사업’은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교육부의 보통교부금 지원으로 학생의 과목 선택권을 보장하고, 자기주도적 학습을 지원하는 공간의 조성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

이를 위해 도교육청은 일반계고 41곳(수원·성남·구리남양주·의정부 등 16개 지역)과 직업계고 8곳(부천·군포의왕·안양과천·고양 등 8개 지역) 등 총 49개 교를 대상학교로 선정, 350억여 원의 예산을 투입해 학생 선택 중심 교육과정 운영에 적합한 공간을 구축한다.
특히 경기공유학교와 경기온라인학교 등을 고교학점제 공간조성 사업과 연계 운영할 수 있는 공간을 함께 조성해 이용률을 높이고, 예산 집행의 효율성도 강화할 방침이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2022년부터 체계적으로 준비해 온 고교학점제가 학교 현장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경기교육만의 새로운 고교학점제 학교 공간조성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