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교진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이재명 대통령의 대표 교육 공약인 '서울대 10개 만들기'에 대해 "학생들 경쟁을 줄여주는 일"이라며 추진 의지를 피력했다.
최 후보자는 장관 지명 다음 날인 14일 오전 인사청문회 준비단 사무실이 차려진 서울 영등포구 한국교육시설안전원으로 첫 출근하는 길에 기자들과 만나 "교육 정상화와 균형발전을 생각해 나온 정책"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서울대 10개 만들기' 공약에 대해 "전국 모든 아이들이 서울 특정 대학에 순서대로 가려는 과도한 경쟁 체제가 있는 것을 허물고 자기 지역에서도 좋은 대학에 갈 수 있도록 하고, 또 졸업하고 살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정작 후보자는 고등교육에 대한 경험이 없다'는 지적에 대해선 "그 지적은 사실"이라면서 "유·초·중·고교 교육과 대학교육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연결 돼 있다고 생각한다. 전문성이 부족하다고 하면 대학 전문가들의 의견을 더 많이 듣고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국정기획위원회는 전날 국정운영 5개년 계획안 발표를 통해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공식 국정과제로 확정했다.
최 후보자는 장관 취임 후 역점을 두고 추진할 정책 대해 교권 침해, 유보 통합, 고교 학점제 등을 언급하며 "우선순위를 정해 하나하나 빠르게 보완해서 추진하고 새롭게 논의가 필요한 부분은 당사자들과 지속적으로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고등교육 방향에 대해선 "우리가 이제 선진국이 됐는데 이 속에서 이겨낼 수 있는 인재를 대학에서 잘 길러내야 한다"며 "국가에서 고등교육을 위한 재원을 최대한 확보해 지원하는 게 함께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후보자는 인공지능(AI) 디지털 교과서 도입에 대해선 "AI 교과서 도입에 대해서 '좀 서두른다. 최대한 현장에서 보완하자'는 의견이었지 AI를 활용해서 교육을 좀 더 효과적으로 하자는 데 이견이 있지는 않다"며 보완해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출신으로 세종시교육감을 지낸 최 후보자는 앞서 교육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이진숙 전 충남대 총장이 논문 표절 의혹 등으로 낙마한 뒤 지난 13일 새로 발탁됐다.
최 후보자가 과거 몸 담았던 전교조는 최 후보자 지명 소식에 "유·초·중등교육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교육개혁을 추진해 줄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전교조는 13일 논평을 통해 "최교진 교육부 장관 후보자는 코로나 시기 초등 1, 2학년을 대상으로 학급당 학생수 20명 상한을 가장 먼저 도입하였다. 또한 교사 정원 감축을 반대하였고, 수업 지원 교사제도를 운영하였다"며 "교육혁신을 위한 제도적 지원과 세종 교육의 민주적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였다"고 평가했다.
이어 "현장 교사 출신의 3선 교육감이다. 전교조 2~3대와 6대 전교조 충남지부장과 4대 전교조 수석부위원장을 역임했다"며 "유·초·중등교육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교육개혁을 추진해 줄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