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재수, 'MASGA'로 조선산업 일자리 우려에 "오히려 윈윈 가능"

정부·여당 일제히 MASGA 띄우기…홍익표 "농산물 개방 압박 낮추는 효과 기대"

정부가 미국 조선업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통한 이른바 'MASGA(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 프로젝트를 대미 통상 협상 카드로 제시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국내 조선업에 타격이 있을 수 있다'는 지적이 이는 데 대해 조선산업 주무부처의 장인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이 "오히려 윈윈할 수 있다"는 긍정 평가를 내놨다.

전 장관은 29일 문화방송(MBC) 라디오 인터뷰에서 정부의 MASGA 협상 카드에 대해 "이미 대한민국 조선업은 세계 최강", "전 세계 30%의 배를 우리가 다 만들고 있다"며 "미국의 조선산업 경쟁력을 키워주는 측면에서 우리가 윈윈을 할 수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전 장관은 MASGA 프로젝트에 대한 긍정 평가의 주된 이유로 북극항로 물류경쟁 시대에 있어서의 '대 중국 견제 기능'을 내세웠다. 그는 "조선산업이 미국하고 결합된다면 우리가 (중국) 상하이항과 경쟁을 하는 데 있어 국제 질서 속에서 조금 더 북극항로의 물류 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고 했다.

전 장관은 이어 "북극항로가 열리게 되고 물동량을 상하이 항이 다 가져가면 미국이 중국을 견제할 수가 없지 않나"라며 "(그걸) 견제하는 중간다리 역할로서 대한민국이 가지고 있는 조선산업의 경쟁력을 미국에 이전도 해주고, 그러면서 무역질서에 있어서 미국의 지지를 좀 받을 수 있는 그럴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전 장관은 '조선 투자가 미국으로 넘어가면 국내 일자리가 줄어들 수 있다'는 일각의 지적에 대해서도 "지금도 우리가 배를 수주하게 되면 우리가 수주한 배를 중국에 하청을 줘서 배를 만드는 경우가 허다하다"며 "고부가가치 배는 우리가 만들고 부가가치가 떨어지는 것은 중국에 하청을 주듯이 그렇게 할 수도 있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그는 "(MASGA를 시작하면) 기술 이전하고 사람 양성하는데 그게 10년 만에 되겠는가. 30년, 50년 가야 되는데 그 와중에 우리는 북극항로가 열리게 될 것"이라며 "거기에 (한국이) 선점을 하게 되면 이 선점의 효과는 상당히 한 100년 이상 갈 거라고 본다"고 강조했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도 적극 호응하고 나섰다. 한미의원연맹 차원에서 최근 방미 일정을 소화하고 온 국회 외통위 민주당 간사 김영배 의원은 이날 SBS 라디오 인터뷰에서 '정부가 제시한 MASGA 프로젝트가 대미 협상의 돌파구가 될 수 있는가' 묻는 질문을 듣고 "미국은 지금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서도 그렇고, 또 무역강국으로 등장하기 위해서도 물류를 좌우할 수 있는 조선업에 굉장히 관심이 있다"며 "세계적으로 보면 대한민국이 그런 파트너로 최적"이라고 답했다.

김 의원은 "십빌딩(Shipbuilding)을 중심으로 해서 (우리가) 미국에 투자하겠다라고 하는 제안은 (미국이) 굉장히 매력적으로 느낄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이제는 이 조선업을 중심으로 한 투자금액이 미국의 입장에서 볼 때 과연 일본이나 EU에 비해서 보따리가 더 크다고 느낄 수 있겠느냐, 이런 게 마지막 지금 저희들 입장에서는 쟁점"이라고 상황을 설명했다.

이어 김 의원은 "그래서 아무래도 비관세 장벽의 영역, 즉 농업분야라든지 아니면 온라인플랫폼분야라든지 이런 분야까지 묶어서 전체적인 통합적 협상을 경제안보 영역에서 마무리 카드로 활용해야 되지 않을까 한다"고 했다.

김 의원은 '안보' 영역에서의 협상 카드로는 "우리가 미국산 무기를 구매한다든지 아니면 방위산업 영역에서의 협력을 강화한다든지 하는 게 굉장히 또 하나의 카드가 될 수 있다"며 "방위산업에 대한 협력도 강화하고, 기술협력을 강화하는 등의 패키지딜도 미국 입장에서는 산업을 일으키고, 경제를 일으키면서 일자리를 만들어내는 데 있어서는 매력적인 카드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은 일본과 유럽연합(EU)의 협상이 완료된 반면 한국은 여전히 협상을 진행 중인 최근의 상황과 관련해선 "굉장히 사실 막판에 몰려 있는 상황", "상당국 입장에서 아마 굉장히 어려운 그런 상황"이라고 위기감을 어필, 현 상황 정부의 핵심 카드로 꼽히는 MASGA 프로젝트의 중요성을 애둘러 강조하기도 했다.

홍익표 전 의원도 이날 YTN 라디오 인터뷰에서 "미국이 지금 조선 산업 자체가 붕괴돼 있다", "미국의 인건비가 높고 하면서 사실은 미국의 조선업은 붕괴된 상태"라며 "조선업 협력 카드는 우리로서는 매우 효과적인 카드가 될 것"이라고 말해 MASGA 프로젝트에 힘을 실었다.

홍 전 의원은 특히 미국으로부터 대규모 LNG 가스를 도입하기로 결정한 인도와, LNG선을 만들 수 있는 한국, LNG를 팔기로 한 미국 간 '삼각 협력'을 제시하며 "우리로서는 비용을 좀 낮추면서 다른 농산물 개방에 대한 압박도 좀 낮추는 효과적 카드로 가장 유력한 게 조선업 협력"이라고 강조했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이 2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열린 국무회의를 시작하며 신임 국무위원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한예섭

몰랐던 말들을 듣고 싶어 기자가 됐습니다. 조금이라도 덜 비겁하고, 조금이라도 더 늠름한 글을 써보고자 합니다. 현상을 넘어 맥락을 찾겠습니다. 자세히 보고 오래 생각하겠습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