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우가 쏟아져 국가 위기경보가 발령된 때 여름휴가를 신청했다 반려당한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이 "직장 생활을 40년 가까이 했지만 휴가 신청이 반려된 것은 난생 처음"이라며 "씁쓸한 기분"이라고 불만을 표했다. "대의를 위해 목숨 걸어본 사람만 나에게 손가락질하라"며 과거 이라크 전쟁 취재 이력도 소환했다.
이 위원장은 27일 페이스북에서 이같이 밝힌 뒤 "그렇게 중요한 기관인데 지금 상임위원 단 한 명으로 중요한 안건을 심의 의결하지 못하고 있다. 대통령 몫 한 명, 국회 추천 세 명이 아직 임명되지 않았다"고 썼다.
앞서 이 위원장은 '이달 25~31일 휴가를 쓰겠다'고 대통령실에 지난 18일 휴가를 신청했지만 반려됐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지난 22일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은 재난대응 심각단계에서 재난방송 컨트롤타워인 방통위원장의 휴가 신청은 부적절하다고 봐 반려했다"고 밝혔다.
휴가 신청이 있던 18일 정부는 풍수해 위기경보 '심각' 단계를 발령했는데, 이를 고려한 결정이라는 설명이었다. 이날은 광주에 400밀리미터가 넘는 폭우가 온 다음날이기도 했다.
이 위원장은 이에 대해 "만약 내가 재난 기간에 휴가를 갔다면, 사람들의 비난과 손가락질을 받는 것은 당연하다. 장관급 기관장이 재난 기간 중에 휴가를 간다는 것은 상상하기 힘든 일"이라면서도 "그러나 휴가 신청과 휴가 실행은 전혀 다른 문제"라고 반발했다.
이어 "휴가를 신청한 18일과 휴가를 실시할 예정이던 25일 사이에는 일주일이라는 시간이 있었다. 일주일이라는 시간은 충분히 변수가 개입될 여지가 있는 시간"이라며 "나의 경우 경찰, 공수처(고위공직자수사처) 등에 고발된 사건이 적지 않아 정작 휴가를 실시하더라도 집에서 보낼 예정이라고 간부들에게 말해뒀었다. 긴급 상황이 발생하면 당장 뛰어나올 것이라고도 알려뒀다"고 밝혔다.
이 위원장은 "휴가 실시 전, 23일이나 24일 폭우가 쏟아지는 등 자연재해가 있었거나 그밖의 비상상황이 발생했다면 휴가 실시는 당연히 없던 일이 될 것"이라며 "그것은 상식이다. 언론사에 근무하는 사람이라면, 휴가 기간 중에 긴급 상황으로 불려나오는 일이 다반사이고 그것을 당연하게 받아들인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을 것"이라고 언론사 근무 이력을 거론했다.
이어 "나는, 대한민국의 기자가 중요한 역사적 사건인 이라크전쟁을 취재해야 한다는 '대의'를 실현하기 위해 바그다드로 진입했던 기록이 있다"며 "휴가를 신청했다고 비난, 비판하는 것은 선진 대한민국에서 일어날 일이 아니다. 대의를 위해 목숨을 걸어봤던 전력이 있는 사람들만 나에게 돌을 던져랴"고 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