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송도 사제총기 살인 사건에 대한 경찰의 초동 대응이 도마에 올랐다. 신고 접수부터 경찰이 현장에 진입하기까지 70여 분이 걸렸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다. 경찰은 내부 감찰에 나섰다.
경찰청 감찰담당관실은 지난 26일 인천 사제총기 사건과 관련 "현장 초동 조치에 미흡한 점이 있었는지 면밀하게 확인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지난 20일 인천 연수구에서 피의자 A씨가 아들 B씨를 사제총기로 살해한 사건이 일어났다.
더불어민주당 윤건영 의원실이 확보한 당시 신고 녹취록을 보면, 피해자 가족 C씨는 사건 당일 오후 9시 31분경 "누가 총을 쐈다. 저희 남편이 총을 맞았다. 빨리 와달라"며 "배가 좀 맞았다. 애들 있다. 빨리 와달라"고 경찰에 신고했다. 경찰은 "저희 출동했다"며 "구급차랑 같이 갔다"고 알렸다.
이후 C씨는 10여 분 사이 두 번 더 전화를 걸어 "아버지가 집안에서 총을 들고 계신다", "남편 죽으면 어떡하나"라며 빠른 출동을 요청했다.
오후 9시 39분경에는 이웃 주민 D씨도 같은 사건을 경찰에 신고했다. 9시 50분경에도 D씨로 추정되는 이가 "경찰이 왜 이렇게 안 오는 것인가"라고 말한 신고 기록이 남아있다.
당일 경찰은 신고 접수 10여 분 만에 아파트 입구에 도착했지만 총을 든 피의자가 현장에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경찰특공대에 진입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장 진입은 오후 10시 43분경 경찰특공대가 도착한 뒤에 이뤄졌다.
경찰은 사건 당시 첫 신고에 대해 가장 긴급한 상황을 뜻하는 '코드 0'를 발령했지만, 내부 매뉴얼과 달리 지휘관 역할을 맡아야 할 관할 경찰서 상황관리관의 출동이 곧바로 이뤄지지 않았다. 상황관리관이 현장에 없을 시 초동대응팀 선임자가 팀장 역할을 맡도록 한 지침도 지켜지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상황관리관이 현장에 도착한 것은 경찰특공대가 내부에 진입해 피의자가 도주해 현장에 없다는 사실이 확인된 뒤였다고 한다.
문제제기가 이뤄진 가운데 경찰의 초동 대응이 미흡했는지에 대한 조사와 판단은 내부 감찰 과정에서 확인될 것으로 보인다. 경찰은 감찰 시기와 방식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