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오는 3일 비교섭단체 5개 정당 대표들과 오찬을 겸해 회동한다. 교섭단체인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지도부와 회동을 가진 데 이어 소수 야당에게도 소통의 문을 열겠다는 의미다.
우상호 정무수석은 1일 기자들과 만나 이 대통령과 5당 지도부 회동 계획을 알리며 "지난 번 교섭단체 당지도부들 만남에 이어 다른 야당과도 대화의 폭을 넓히려는 것"이라고 했다.
또 "의제제한 없이 자유롭게 진행될 예정"이라며 "이재명 대통령은 최근 국정 상황과 외교 현안 등을 소상히 설명하고 야당의 협조를 요청할 계획"이라고 했다.
이번 회동에는 조국혁신당 김선민 대표 권한대행과 서왕진 원내대표, 진보당 김재연 대표와 윤종호 원내대표, 개혁신당 천하람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 기본소득당 용혜인 대표 겸 원내대표, 사회민주당 한창민 대표 겸 원내대표가 참석한다.
앞서 이 대통령은 지난 달 22일 한남동 관저에서 민주당과 국민의힘 지도부와 오찬 회동을 가진 바 있다.
지난 대선 당시 민주당을 도왔던 조국혁신당, 기본소득당, 진보당, 사회민주당은 이번 회동에서 이 대통령의 개혁 의지를 재확인하는 데에 주력할 전망이다.
특히 야당은 송미령 농림부 장관 유임을 비롯해 봉욱 민정수석, 이진수 법무부 차관 등을 임명한 배경 설명을 이 대통령에게 요청할 것으로 보인다. 검찰 개혁에 미온적인 입장을 견지해온 이들을 대통령실과 내각에 발탁한 데 대해 조국혁신당은 이 대통령의 개혁 의지 퇴색으로 의심하고 있다.
우 수석은 "야당 입장에서 말 할 수 있다"면서 "(이 대통령이) 그에 대한 답변을 할 것"이라고 했다.
조국혁신당 안팎에서 거론되는 조국 전 대표에 대한 사면론이 수면 위로 떠오를지도 관심이다.
앞서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는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사면권은 대통령의 고유 권한"이라면서도 "국민통합이라는 관점에서 토론의 여지가 있다"고 했다.
소수 야당 지도부들은 원내 20석 이상으로 규정된 교섭단체 구성요건 완화를 요청할 가능성도 있다. 이 수석은 "국회에서 결정할 문제라 대통령실에서 관여하기 어려운 주제"라고 난색을 표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