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더불어민주당의 반도체특별법 내 '주52시간 예외' 조항 삭제를 두고 "반도체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절실한 요청을 묵살해 버린 것"이라며 "이재명 대표가 외치고 있는 친(親)기업이니 성장은 거짓말"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추경·연금개혁 등 경제 관련 정책 드라이브에 나서기도 했다.
권 원내대표는 18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 모두발언에서 이같이 말하며 "지난 3일 이 대표는 반도체특별법 토론회에서 '몰아서 일하기가 왜 안 되느냐고 묻는데 할 말이 없더라'면서 사실상 유연성 확보에 동의했다. 그런데 불과 2주만에 입장을 또 바꿨다"고 지적했다.
권 원내대표는 이어 "미국 엔비디아는 고강도 근무 문화로 유명하고 대만의 TSMC 역시 주 70시간 이상 근무한다"며 "경쟁국은 밤낮으로 뛰고 있는데 대한민국 반도체산업만 민주당 때문에 주52시간에 묶여 있다"고 주장했다. "선진국들은 특정 고소득 직군의 근로시간 유연성을 보장하고 있다"며 "반면 우리는 낡은 제도에 가로막혀 첨단산업 역량이 저하되고 있다"고도 했다.
그는 이 대표의 경제 '우클릭' 행보를 겨냥해선 "요즘 들어 성장을 외치던데 정작 성장하는 건 이 대표의 거짓말 리스트 뿐", "조기대선을 겨냥해 표를 얻기 위한 기회주의적인 술책"이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권 원내대표는 또 추경 예산안과 관련해서도 민주당을 비판하며 주도권 싸움에 나섰다. 그는 "국민의힘은 정부와 함께 추경을 포함해 국민경제를 살리기 위한 모든 정책대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야당과도 얼마든지 협의할 의지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민주당을 향해선 "민주당처럼 제대로 검토도 하지 않고 사흘 만에 5조 원이나 바꾸는 졸속추경으로 국민과 흥정하지 않을 것", "선심성 포퓰리즘 추경"이라고 날을 세웠다.
연금개혁과 관련해서도 그는 "연금보험료율을 9%에서 13%로 인상하는 건 여야 간에 이견이 없다. 보험료율은 당장 신속하게 합의해서 처리하자"며 "소득대체율과 자동안정화장치를 비롯해 국민·기초·퇴직연금 등 연금제도 개혁은 연금개혁특위에서 종합적으로 논의할 것을 다시 한번 제안한다"고 했다. 앞서 민주당은 특위 이전에 국회 보건복지위 소위 차원에서도 연금개혁을 논의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