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북한의 ‘대남 오물풍선 도발’과 정부의 ‘9·19 군사합의 효력정지’ 및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 등 남북이 강대강 대치가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경기도가 접경지역을 포함한 경기도민을 보호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섰다.
경기도는 11일 오후 2시부터 도청 재난안전 제1영상회의실에서 ‘긴급 유관기관 대책회의’를 진행 중이다.

이날 회의에는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오후석 행정2부지사 등 경기도 관계자들을 비롯해 김포·연천·파주·포천 등 접경지역 시·군 관계자, 지상작전사령부·수도군단·해병 제2사단·해군2함대·제10전투비행단 등 군 당국 관계자, 경기남부·북부경찰청 및 중부지방해양경찰청 등 경찰 관계자, 경기도소방재난본부·경기소방재난본부장 등 20여 명이 참석했다.
비공개로 진행되고 있는 이날 회의에서는 현 위기상황과 관련한 대응계획과 대북전단 살포 관련 대응 방안 및 현 상황 관련 도민안전 협조사항 등에 대해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김 지사는 회의 시작에 앞서 모두발언을 통해 "최근 북한은 2주일 동안 4차례에 걸쳐 오물 풍선을 살포했고, 정부는 대북 확성기 방송을 재개하는 등 한반도의 긴장이 고조되면서 국민 보호를 위한 공조가 시급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로 인해 접경지역 주민과 군 장병의 안전이 공격받고 있고, 또 추가 도발에 대비할 수 있는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라며 "무엇보다 최대 접경지 가운데 하나인 경기도내 접경지역 주민들의 일상이 위협받으면서 경제활동에도 악영향이 발생하고 있다"고 현 상황을 짚었다.
김 지사는 "앞서 경기도는 북한의 오물풍선 살포가 벌어진 직후 재난문자를 발송하는 한편, 비상대비상황실을 구축해 운영하면서 북한의 추가도발에 대한 대응 및 유관기관과 상황을 공유하는 등 신속하게 자체 조치를 시행했다"며 "또 지난 3∼4일 군·경·소방 등과 공조회의를 통해 북한의 추가도발 대비한 대책을 논의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경기도지사의 책무는 경기도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으로, 경기도는 대북 전단 살포가 예상되는 지역에 즉시 특별사법경찰관을 출동시켜 순찰과 감시를 강화하는 등 도민과 국민의 안전 및 평화를 위협하는 행위에 단호히 대처할 방침"이라며 "각 기관과의 적극적인 협력 및 공조를 통해 접경지역 주민과 국민의 안전을 지킬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