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구들가마’ 원형 밝힐 유적, 대구 인각사지서 발굴

통일신라‧고려‧조선 기와 가마터 한곳서 발굴

대구시 군위군 인각사 인근서 통일신라에서 조선까지 시기별로 기와가마 5기, 삼가마 1기, 석렬 3기 등이 발견됐다.

24일 군위군에 따르면 (재)불교문화재연구소가 조사한 이번 발굴은 인각사지 동쪽 100미터 구릉지 1823㎡에 인각사에 기와를 공급하던 가마터가 존재할 것으로 보고 올해 10월 발굴을 시작했다.

발굴된 기와가마들은 통일신라‧고려‧조선 순으로 조사지역 동쪽에서 서쪽으로 시간 흐름에 따라 이동하며 인각사의 창건과 중창 시기의 이동 방향과 유사하다.

특히, 통일신라시대 구들식 가마는 국내에서 매우 희귀하며 가장 완벽한 형태로 소성실이 발견돼 동아시아 구들가마의 원형을 밝힐 수 있는 자료로 충분한 가치를 가진다.

조사지역 가장 동쪽에서 발굴됐고 전체 길이는 4m로 소성실 내부가 조선시대 구들골처럼 회청색으로 단단하게 경화된 고래시설이 확인됐다.

평면 형태는 방형으로 두터운 벽이 연소실과 소성실 사이에 조성됐고 벽 하단부에는 소성실-연소실로 연결된 여러 구의 불창이 확인됐고 내부에서 중판 선문계 기와편 등이 다량으로 확인되고 있어 적어도 8세기경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시대 기와가마는 총 3기가 발굴됐고 능선 중단부에 가장 넓게 분포돼 있다. 소성실과 연소실이 수직 단벽으로 이뤄져 있고 내부는 회청색으로 단단하게 경화된 모습을 보인다.

조선시대 기와가마는 조사지역 가장 서쪽에서 전체 길이 11m로 평면형태는 세장(細長)한 형태의 원추형으로 소성실과 연소실의 높이차가 80㎝정도로 단차가 매우 크며, 수직벽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번 발굴은 생산유적과 건축유적과의 긴밀한 연관성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고고학적 자료다. 발굴지는 이달 말까지 동계 보존조치(복토) 후 내년 상반기 추가 정밀조사 및 동쪽 능선에 대한 확대 조사를 추진할 계획이다.

김진열 군위군수는 “이번 발굴조사는 삼국유사의 산실인 인각사의 역사적 중요성을 다시 한번 밝힌 계기다”며 “앞으로도 문화유산 보존과 삼국유사의 가치를 알리는데 더욱 힘쓰겠다”고 밝혔다.

▲대구시 군위군 인각사 인근서 통일신라에서 조선까지 시기별로 기와가마 5기, 삼가마 1기, 석렬 3기 등이 발견됐다.ⓒ군위군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박종근

대구경북취재본부 박종근 기자입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