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집단감염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확진환자의 입·퇴원 기준을 바꿔 병상을 확보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임상위원회는 21일 국립중앙의료원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코로나19 집단감염이 지속적으로 확산되는 상황에서 현재의 입퇴원 기준을 유지하면 병상 부족이 우려된다"며 "산소치료가 필요한 중증으로 발전할 위험이 낮은 환자의 입·퇴원 기준을 바꿔야 한다"고 권고했다.
중앙임상위의 이 같은 권고는 국내 55개 병원에서 18세 이상 성인 3060명의 코로나19 환자의 임상 결과를 수집한 자료에 바탕을 두고 있다.
해당 자료에 따르면, 50세 미만이고 확진 당시 호흡곤란이 없으며 고혈압, 당뇨, 만성 폐질환, 치매와 같은 기저질환이 없는 코로나19 환자의 질환이 산소 치료가 필요한 중증으로 발전할 확률은 1.8%였다. 이들 중 분당 호흡수 22회 미만, 수축기 혈압 100mmHG 이상인 환자의 질환이 악화돼 산소 치료를 받게 될 확률은 0.12%였다.
중앙임상위는 이 같은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50세 미만 저위험 코로나19 환자의 퇴원을 고려하는 방향으로 코로나19 환자 입·퇴원 기준을 바꿔야 한다고 제안했다.
반면, 중앙임삼위는 65세 이상 고령자, 체질량지수(BMI) 30이상 고도 비만, 분당 호흡수 22회 이상, 만성 심질환, 치매, 호흡곤란, 수축기 혈압 100mmHG 미만인 환자의 질환이 중증으로 발전할 확률은 10% 정도라며, 이들을 우선 입원이 필요한 고위험 환자군으로 분류했다.
정기현 국립중앙의료원장은 "저위험도 환자의 입·퇴원 기준을 바꾸면 입원 일수를 50% 이상 줄일 수 있다"며 "메르스 때와 달리 코로나19 팬데믹이 장기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의료 체계의 붕괴를 막기 위해서는 저위험 환자를 퇴원시켜 자가격리나 생활센터로 전원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오명돈 중앙임상위원장은 "코로나19 방역의 최종 목표는 종식이 아닌 인명 피해 최소화가 되어야 한다"며 "방역을 통한 종식을 목표로 하느라 위험도가 낮은 젊은 환자까지 입원시켜 정작 입원이 필요한 사람이 집에서 대기하다 목숨을 잃은 대구 때의 아픈 경험을 되풀이해서는 안 된다"고 전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