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습기살균제 피해자를 찾습니다

[함께 사는 길] 12월 31일까지 환경보건시민센터로

가는 곳마다 그랬다. 부산을 시작으로 대구, 광주, 대전 그리고 수도권에서 가습기살균제를 사용했던 사용자와 피해자를 찾는 전국순회 환경캠페인을 했다. 지역환경연합 사무국 활동가와 회원들이 적극 도와주고 같이 해주었다. 생활용품으로 사람이 143명이나 죽었고 수백만 명의 잠재적 피해자가 발생한 끔찍한 환경사건의 피해자 중 자신들의 지역에 구체적으로 몇 명 있다고 밝힌 조사보고서는 가습기살균제 문제를 피부에 와 닿게 해 주었다.

전국 돌며 피해자 찾아 나서

대형마트는 저마다 자체 브랜드인 PB상품으로 가습기살균제를 팔아 피해자가 발생했다. 롯데마트가 가장 많은 피해자를 내 주로 각 지역 도심의 롯데마트 앞에서 캠페인을 가졌다. 캠페인 참가자들과 가습기살균제 문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자리를 같이한 사람들의 절반가량이 '사실, 나도 가습기살균제를 사용했어요'라고 했다. '오래전 신혼 때 첫 아기를 가졌을 때 사용했어요'라고도 했다. 그 지역에서 찾아낸 신규피해자 1호는 활동가와 환경연합 회원들이었다.

대전환경연합의 한 여성 회원은 "우리 때는 어린이가 있는 집집이 겨울철이면 거실에 가습기와 그 옆에 살균제를 갖춰 놓는 것이 상식이었어요"라고 말했다. 2005년을 전후로 대다수 사람들이 아파트에 거주하고 생활용품 구매를 대형마트에서 주로 하기 시작하던 때다.

겨울철 아파트 공간은 차가운 외풍을 철저히 막아주었고 난방으로 집안은 탁했다. 낮은 습기로 아이들은 감기에 더 잘 걸렸고 병원에선 가습기사용을 권했다. 대형마트 입구마다 새로 나온 가습기살균제 상품이 앞다투어 진열되었고, 심지어 1+1 판촉행사로 눈길을 사로잡았다. 사람들은 '가습기 물통 안쪽이 구석구석 깨끗이 씻기지 않아서' 또는 '가습기 물통 청소가 귀찮아서' 마트에 갈 때마다 가습기살균제를 찾았다. 주방위생용품의 대명사 '옥시싹싹'과 애경이 만들었고 롯데마트, 이마트, 홈플러스, GS마트 등 대기업이 운영하는 대형마트들이 자체브랜드 PB상품을 내놓아 소비자들은 이 제품의 안전성에 대해서 조금도 의심하지 않았다.

▲ 정부가 가습기살균제 피해신고 접수기한을 2015년 12월 말까지로 정해놓은 가운데, 환경보건시민센터와 피해자모임은 전국을 돌며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찾기 캠페인을 진행했다. ⓒ최예용

전국 순회 캠페인을 통해 지금까지 70명이 넘는 사용자 및 피해자를 찾아냈다. 많은 경우 가습기살균제를 사용할 당시 기침, 감기, 호흡곤란 증세를 경험했고 병원에 다녔다고 했다. 가습기살균제를 사용한 지 한참 시간이 흐른 지금 천식과 비염 증세로 고생하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그들 중 상당수는 '내가 게을러서 가습기 물통에 살균제 넣는 것을 자주 하지 않아 천만다행이다'라고 생각하면서도 '지금 우리 애들이 겪는 천식과 비염이 가습기살균제 때문일지 모른다'고 우려해 신고를 해왔다. 더 큰 문제는 가습기살균제 노출로 암이 발생할지 모른다는 우려다. 실제 사용한 지 10년이 지난 여성 성인에게 폐암이 발생한 사례가 나왔다.

잠재적 피해자 약 800만 명 추산

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가습기살균제 피해 현황자료를 지역별로 분석해보니 전체 530명(사망 143명) 중에서 경기도가 164명(사망 38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이 서울 122명(사망 30명), 인천 61명(사망 18명), 대전 38명(사망 15명), 대구 23명(사망 6명)의 순서로 대도시 인구 크기에 비례에서 많이 발생했다. 그다음으로는 충남 19명(사망 8명), 부산 15명(사망 5명), 충북 15명(사망 2명), 전북 13명(사망 2명), 광주 12명(사망 3명), 경남 12명 (사망 3명), 전남 10명(사망 4명), 경북 10명(사망 3명), 강원 8명(사망 3명), 울산 4명(사망 1명), 세종시 2명이었다. 미국에서는 재미교포가 1명 사망했고, 제주에도 사망사례가 1명 있었다.

2011년 말 정부는 6개의 가습기살균제 제품을 강제회수하고 나머지도 사용중지를 권고하면서 가습기살균제는 사실상 시장에서 완전히 퇴출당했다. 정부는 이 제품을 의약외품으로 지정해 판매하기 전에 반드시 호흡독성 안전시험을 거치도록 했는데 지금까지 단 하나의 제품도 판매신청을 하지 않고 있다.

여기서 한 가지 의문이 생긴다. 판매금지 이전에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가습기살균제를 사용했었을까? 한 조사에 따르면 2010년에 가습기살균제 60만 병을 팔았다고 했다. 가습기살균제는 주로 가족단위로 사용한다. 2011년 보건복지부 산하 질병관리본부가 도시거주 일반인구의 37.2%가 가습기를 사용했고, 18.1%가 가습기살균제를 사용했다는 연구조사를 낸 바 있다. 이 내용은 2012년 한국환경보건독성학회지에 실린 '경기지역에서의 가습기와 가습기살균제 사용(전병률 등)'이란 제목의 학술논문으로도 보고되었다.

이 논문결과를 전국 인구에 적용하면, 2011년 말 가습기살균제가 사용 금지되기 이전인 2010년의 전국인구가 4941만 명(통계청 자료)이고 18.1%인 894만여 명이 가습기살균제를 사용한 것으로 파악된다. 농촌지역의 경우 사용률이 떨어지는 점과 질병관리본부의 연구가 경기 도시지역 일반 인구를 대상으로 한 점 등을 고려할 때 가습기살균제 사용 인구는 적어도 한해 최고 800만 명이 넘을 것으로 추산된다. 그러나 가습기살균제가 1994년부터 판매되기 시작해 2000년 이후 대형마트를 통해 대량으로 소비되어 왔던 점을 고려할 때 사용 금지되기까지 18년 동안의 가습기살균제 사용자는 800만 명을 훨씬 넘어 수천만 명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 신고된 530명의 피해자들의 거주지역을 근거로 지역별 사용자를 추산했다. 이들은 잠재적인 피해자라고 할 수 있다. 경기도가 전체의 31%인 248만 명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은 23%인 184만 명이었다. 인천 92만 명, 대전 57만 명, 대구 35만 명, 충남 29만 명, 부산과 충북 23만 명, 전북 20만 명, 경남과 광주 18만 명, 경북과 전남 15만 명, 강원 12만 명, 울산 6만 명, 세종시 3만 명, 제주 2만 명의 순으로 많았다. 미국에 사는 재미교포들도 2만 명의 잠재적 피해자가 있을 것으로 추산되었다.

가습기살균제 피해신고 12월 말까지

정부는 가습기살균제 피해신고 접수기한을 2015년 12월 말까지 정해놓았다. 수많은 피해자가 있을 터인데 적극적으로 찾아 나서지 않았고 시간은 얼마 남지 않았다. 때문에 피해자모임과 환경보건시민센터는 전국의 환경연합 도움을 받아 피해자 찾기에 나섰다. 전국교직원노조, 생활협동조합에서도 회원들 중에서 사용피해자가 있는지 알아보고 있다. 살인제품을 만들어 판 기업들은 피해대책은커녕 아직까지 공식적인 사과 한마디조차 하지 않고 있다. 피해자를 적극적으로 찾아내고 엄격한 책임을 물어야 제2의 가습기살균제 참사를 경험하지 않을 것이고 기업들이 국민과 소비자를 우롱하지 못할 것이다.


월간 <함께 사는 길>은 '지구를 살리는 사람들의 잡지'라는 모토로 1993년 창간했습니다. 사회적 약자와 생태적 약자를 위한 보도, 지구적 지속가능성을 지키기 위한 보도라는 보도중점을 가진 월간 환경잡지입니다. (☞바로 가기 : <함께 사는 길>)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