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10일 중의원 안보법제 특별위원회에 출석한 자리에서 "한국 정부는 기시다 외무상이 기자회견에서 말한 것이 잘못됐다고 한 번도 말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앞서 기시다 외무상은 지난 5일 일본 근대 산업 시설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직후 기자들과 만나 일본 유네스코 대사가 언급한 'forced to work'가 강제 노동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밝힌 바 있다.
아베 총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회의 당시 일본 정부 대표 성명에 있었던 'forced to work'라는 문구는 대상자의 의사에 반해 징용된 경우도 있다는 의미로 사용한 것"이라면서 강제 노역은 아니었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외교부는 기시다 외무상의 발언이 나온 직후부터 영문이 정확한 표현이라면서, 오해가 없고 논란의 소지도 없다고 대응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관련해 직접 당사국인 일본에 어떠한 항의 제스처도 취하지 않았다는 것이 드러나면서, 소극적인 대응 아니냐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정부가 영문본만 강조하는 사이 일본에서는 자신들의 해석을 확고히 다져나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강제 노역에 대한 자신들의 관점을 노골적으로 드러내기 시작했다. 이날 아베 총리와 함께 특별위원회에 출석한 기시다 외무상은 전쟁 당시에 한반도 출신의 사람들이 징용된 것은 '국민 징용령'에 의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한반도가 일본의 지배하에 있었기 때문에 당시에 한반도에 사는 주민들도 일본의 국민이고, 따라서 이들을 징용하는 것은 '강제노동에 관한 조약'이 금지하는 '강제노동'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주장이다.
한편 아베 총리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서도 국가의 강제 동원 책임을 흐리는 듯한 발언을 했다. 그는 "징용공(조선인 강제징용 피해자) 중 공장에서 일하고 싶다고 한 사람도 있을지 모르지만 그게 아니라면 징용된 것"이라고 전제한 뒤 "위안부도 모두 자기 의사에 의한 것은 아니고 여러 경제 상황을 포함해 의사에 반한 것도 있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