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채용 비리·논문공장·청렴도 ‘집중 포화’…전북대 국감, 질타 쏟아졌다

“채용비리 가담자 교육계 발 못 붙이게 해야”…양오봉 총장 “경찰 수사 결과 따라 엄중 조치”

전북대학교가 교수 채용 비리, 논문공장 논문 의뢰, 음주운전, 개인정보 유출 등 잇따른 부정행위 논란으로 22일 열린 국회 교육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집중 질타를 받았다.

이날 전북대 진수당에서 진행된 국감에서는 지난해 불거진 미술학과 교수 채용 비리가 핵심 쟁점으로 다뤄졌다.

▲22일 전북대학교 진수당에서 열린 국회 교육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양오봉 전북대 총장이 의원 질의에 답변하는 모습이 영상화면에 비춰지고 있다. ⓒ프레시안


국민의힘 김용태 의원은 “교수 채용 과정에서 특정인을 염두에 둔 ‘10개국 이상 국제전 항목’이 독단적으로 추가됐다”며 “이는 특정인을 밀어주기 위한 심사 항목으로밖에 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같은 당 정성국 의원도 “심사위원이 지원자와 작품전을 함께 한 정황이 드러났다”며 “심사 공정성이 무너졌다”고 비판했다.

그는 “전북대는 오히려 제보자를 개인정보 유출 혐의로 고소했다”며 “사건의 본질을 흐리는 ‘제보자 역고소’ 행태를 중단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더불어민주당 김준혁 의원 역시 “전북대가 청렴도 평가에서 4등급에 머무르고 있다”며 “채용비리를 근절하고 청렴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영호 교육위원장은 “채용비리나 입시비리는 단 한 건도 나와서는 안 된다”며 “비리에 가담한 자는 교육계에 발을 붙이지 못하도록 강력히 조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성준 의원(더불어민주당)은 “지난해 전북대에서 32만 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됐고,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조사에서도 학사 시스템의 보안 취약성이 지적됐다”며 “피해자 구제와 재발 방지를 위한 모니터링 강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대식 의원(국민의힘)은 “국립대 교수들의 논문공장 의뢰가 사회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며 “15건 중 3건이 전북대 관련 논문이었다. 연구윤리를 전수 조사하고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밝혔다.

김준혁 의원은 또 “전북대는 교수 음주운전이 전국 국립대 중 가장 많다”며 “다른 대학이 해임 수준의 징계를 내리는 반면, 전북대는 1~3개월 정직으로 사실상 면죄부를 주고 있다”고 질타했다.

이에 대해 양오봉 전북대 총장은 “경찰 수사에 성실히 협조 중이며 결과에 따라 엄중히 책임을 묻겠다”며 “개인정보 유출과 연구윤리 문제에 대해서도 재발 방지를 위한 전수조사와 보안체계 강화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양 총장은 “불미스러운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내부 통제를 강화하고 청렴도 개선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덧붙였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양승수

전북취재본부 양승수 기자입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