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가 2일 대변인 명의로 '오픈AI' 전용 민간 AI 데이터센터의 전남 구축에 대해 "대한민국 AI산업의 저변을 넓히는 기회이자 국가 AI 생태계 발전의 중요한 발걸음"이라며 진심 어린 환영의 뜻을 밝혔다.
광주시는 이번 민간 데이터센터 구축을 계기로, 곧 들어설 국가 주도의 국가AI컴퓨팅센터와의 시너지 효과를 강조했다.
시는 "'광주는 국가 주도, 전남은 민간 주도 AI 인프라'라는 구도가 형성돼 AI 중심도시로 속도감 있게 나아갈 것"이라며 "국가와 민간의 인프라 역량이 결합해 대한민국 AI산업을 선도하는 독보적 상생 모델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시는 AI를 "모든 산업을 견인하는 성장동력이자 막대한 부가가치를 창출할 미래산업"으로 규정하며, 민간 데이터센터와 국가 인프라의 성격 차이도 명확히 구분했다.
광주시에 따르면 민간 데이터센터는 특정 기업의 기술 개발과 상용화를 위한 전용 공간이라면, 국가AI컴퓨팅센터는 국내 스타트업, 대학, 연구기관 등 컴퓨팅 자원을 독자적으로 마련하기 어려운 주체들에게 개방되는 '공공재' 성격의 국가 핵심 인프라다.
광주시는 이미 조성된 국가AI데이터센터에 이어 초거대 국가AI컴퓨팅센터, 그리고 대한민국 AI 산업의 싱크탱크 역할을 할 국가AI연구원까지 더해 '3대 국가 AI 인프라' 완성 계획을 밝혔다. 이는 광주를 넘어 대한민국이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국가적 과제라는 점을 재차 강조했다.
끝으로 "이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광주의 하나 된 힘"이라며 "광주의 열망이 중앙정부와 국회에 닿을 때 비로소 대한민국의 AI 미래가 열린다. AI 3대 강국 시대, 광주가 앞장서 열겠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