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글로벌 해양수도 부산 운영위원회 본격 가동

3대 전략 12개 추진과제 집중 논의...공간혁신, 산업혁신, 인재혁신 등

부산시가 글로벌 해양수도 추진을 위한 논의를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부산시는 지난 25일 오전 부산시청에서 '글로벌 해양수도 부산 운영위원회'의 첫 회의를 열고 부산이 글로벌 해양 허브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전략 실행 방안을 논의했다고 26일 밝혔다.

운영위원회는 지난 8월 출범한 글로벌 해양수도 부산 추진위원회의 산하 기구다. 정책과제의 발굴과 심의, 실행계획 점검 및 조정 등 전략 실행의 중추적 역할을 한다. 김가야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석좌교수와 박재율 해양수도부산발전협의회 공동대표가 공동위원장을 맡으며 학계·산업계·연구기관 및 시민사회 등 전문가 20여 명으로 구성된다.

이날 회의에서는 지난달 시가 발표한 '글로벌 해양 허브도시' 도약을 위한 3대 전략 12개 추진과제의 세부적인 실행계획이 집중 논의됐다. 먼저 첫 번째 전략인 '공간혁신(SX)'은 5대 항만을 거점으로 도시 공간을 전면 재구성해 남부권 경제성장의 중심축은 물론 북극항로의 거점도시, 글로벌 해양서비스 산업의 중심도시로 도약한다는 계획이다.

▲부산시청 전경.ⓒ프레시안(강지원)

두 번째 전략인 '산업혁신(IX)'은 해양제조업 르네상스 실현을 목표로 해양특화 전력반도체와 이차전지 산업 육성, 조선·해양 산업 전반의 친환경 에너지 생태계 구축, 인공지능(AI)과 데이터 기반 산업전환 등을 핵심과제로 추진한다. K-블루푸드 허브 조성과 해양생태계 복원사업을 통해 지속 가능한 해양 활용 도시로의 발전도 함께 도모한다.

세 번째 전략인 '인재혁신(TX)'은 북극항로 시대와 해양수산 디지털 혁신을 선도할 첨단·고급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국립 거점대학을 중심으로 해양수산 특화 지·산·학 생태계를 조성해 지속 가능한 인재 공급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세부 과제다.

부산시는 이번 회의에서 논의된 세부 실행 과제를 바탕으로 산·학·연·민·관 협력체계를 더욱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오는 연말까지 최종 실행계획을 확정한 후 대정부 건의와 국비 확보 등을 통해 정책을 구체화할 방침이다.

추진위원회 정책협의회장을 맡고 있는 성희엽 부산시 미래혁신부시장은 "산·학·연·민·관이 함께하는 협력체계를 통해 글로벌 해양 허브도시 부산의 실현 가능성을 높이고 대한민국 신성장동력 창출에도 이바지하겠다"라고 전했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강지원

부산울산취재본부 강지원 기자입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