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방송(MBC) 기상캐스터 고(故) 오요안나 씨의 어머니 장연미 씨가 딸의 죽음에 대한 공식 사과와 재발방지 대책 마련을 요구하며 5일째 단식농성 중임에도 MBC는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이에 법률가들이 MBC에 유가족 요구를 수용하라고 촉구하며 장 씨에게 힘을 실었다.
노동권 실현을 위한 노무사 모임,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등 5개 법률단체는 12일 서울 마포 MBC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법률가 127명의 연서명이 담긴 입장문을 발표했다.
법률가들은 앞서 법원이 프리랜서, PD, 방송작가 등에 대해 종속적인 지위에 있는 MBC 노동자라는 판결을 내린 일을 언급한 뒤 "고 오요안나 캐스터도 마찬가지였다. 기상예보를 준비하고 진행하는 과정에서 MBC 정규직 노동자와 일상적으로, 유기적으로 협업했고, MBC는 고 오요안나의 업무에 일상적으로 개입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고 오요안나는 MBC가 사전에 마련해 둔 기준에 따라 기상예보를 준비하고 방송했고, 방송 일정에 맞춰 출근하고 퇴근했다. 철저하게 MBC에 종속돼 근무했고, 그 과정에서 직장내괴롭힘도 당했다"고 부연했다.
법률가들은 "고 오요안나 뿐만 아니라 MBC가 사용하지만 멋대로 프리랜서라 부르는 방송 필수인력은 MBC의 노동자"라며 "MBC는 방송 비정규직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 고 오요안나 유가족의 요구를 수용하는 것이 그 시작"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공식 사과와 재발방지 대책 마련 △오요안나 기상캐스터 명예회복과 예우 △사내 비정규직 고용구조, 노동조건 개선 △오요안나 직장내괴롭힘 진상조사 결과 공개 등을 촉구했다.
회견에 직접 참석한 법률가들도 유가족의 단식에도 침묵으로 일관 중인 MBC에 대한 질타가 이어졌다. 강은희 변호사는 "노동자를 취재하며 배운 것이 고작 노동자를 배제하고 차별하는 방법인가"라며 "MBC는 방송 비정규직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사람을 쓰면 책임도 좀 지시라"고 말했다.
하은성 노무사도 "공영방송의 탈을 쓴 지상파 방송사조차도 이렇게 뻗대고 나오는데, 방송 노동자들은 누구에게 기대고 나의 권리를 외칠 수 있나"라며 "이제는 변해야 한다. 이 투쟁을 통해 방송 비정규직 문제가 해결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단식 중인 장 씨도 직접 마이크를 잡고 발언에 나섰다. 그는 "오늘 단식 5일차가 됐는데 우리 오요안나가 저를 보며 뭐라고 했을지 생각해봤다. 아마 '엄마 힘내라'고, '잘 하고 있다'고 이야기해줄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MBC는 아직까지 아무런 반응도 답변도 없다. MBC 안에 분향소를 차려놨다는데 상주인 저한테는 아무 말도 없고, 요구안에 대한 답도 없다"고 했다.
장 씨는 "농성장에 있다 보니 요안나의 친구들, 함께 일한 동료들이 찾아주고 있어 힘내고 있다"며 "다른 방송사에서 일하며 괴롭힘으로 고통을 겪었다는 젊은 여성, 딸이 괴롭힘을 당해 걱정된다는 아버지, 프리랜서로 일하고 있어 그 어려움이 무엇인지 안다는 청년들"도 찾아와 아픔을 함께해 주고 있다고 했다.
장 씨는 "요안나는 프로그램 시작 세시간 전에 출근해 방송을 준비하고, 멘트 문구 하나까지 상사의 수정지시를 받으며 일했다"며 "요안나가 MBC 노동자가 아니라는 것을 받아들일 수 없다. MBC는 우리 요안나의 죽음에 명확한 책임있다. 안형준 사장은 조속히 문제를 해결하라. 지금 농성장으로 와서 어떻게 책임질지 이야기하라"고 호소했다.
앞서 오 씨는 2021년 MBC에 입사해 기상캐스터로 일하다 지난해 9월 15일 직장 내 괴롭힘으로 인한 정신적 고통을 적은 유서를 남기고 세상을 등졌다. MBC는 자체 진상조사를 진행했지만, 소송이 진행 중이라는 점, 2차 가해가 우려된다는 점 등을 이유로 들며 결과를 공개하지 않고 있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같은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예방 상담전화☎109 또는 SNS상담 마들랜(www.129.go.kr/etc/madlan)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