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늘봄학교 지원인력 백지화 놓고 일선 교사들 반발

교사노조 "늘봄지원실장 없다면 늘봄학교도 없애야"

부산교육청이 늘봄학교의 전면적인 재검토와 함께 하반기 지원인력 배치의 백지화를 추진하자 일선 교사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부산교사노동조합과 초등교사노동조합 등은 12일 오전 부산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늘봄지원실장직 배치를 갑작스럽게 백지화한 부산교육청의 행태에 대해 비판하고 인력 배치를 강력하게 요구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늘봄제도는 교육이 아닌 돌봄의 영역이며 교사가 맡아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며 "늘봄지원실장이 사라진다면 사교육의 영역과 다를 바 없는 방과후 업무의 수강생 모집부터 홍보, 운영까지의 업무는 고스란히 교사들에게 돌아올 수 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늘봄지원실장이 있는 현재도 일부 교사는 늘봄 업무를 하고 있다. 실장이 있어도 이런 데 없으면 어떻게 되겠느냐"며 "교사들이 또다시 본연의 수업과 생활지도를 제쳐두고 행정과 운영을 떠맡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부산교사노조와 초등교사노조 등은 12일 오전 부산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늘봄지원실장 배치 백지화와 관련해 부산교육청의 재검토를 촉구했다.ⓒ프레시안(강지원)

노조는 "늘봄지원실장 없이는 늘봄학교를 없애는 것이 맞다"며 "김석준 교육감은 내년도 늘봄지원실장 자리를 확보하고 개선 방향에 대해 교원단체와 즉시 논의하라"고 촉구했다.

김석준 부산교육감은 지난 6월 "지난 윤석열 정부 하에서 추진한 늘봄 확대 정책에서 여러 문제점이 확인되고 있다"며 "하반기에 60명을 증원해 내려준다고 한 늘봄지원실장을 받지 않는다고 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후 부산교육청은 내년 예정된 늘봄지원실장 63명의 배치 백지화를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 교육감은 "늘봄지원실장에 중견 교사가 몰리면서 현장에 새내기 교사만 남게 돼 교육과정 자체가 제대로 돌아가지 않는다"고 말하기도 했다. 노조는 이를 "전체 초등 교사의 비중에 대해 많다고 보기는 어렵다"면서 "이미 중견 교사들이 대거 퇴직하면서 현장에서는 저년차 교사들이 부장급 관리직을 맡고 있다. 아전인수에 가까운 해석"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부산교육청은 같은 날 "현재와 같이 늘봄지원실장이 2~3개 학교를 순회하는 구조에서는 학교별 상황 대처에 어려움이 있고 안정적인 운영 안착에 한계가 발생한다"며 내년도 늘봄지원실장 임용을 유보하고 대안 마련을 위해 TF를 꾸린다는 입장을 전했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강지원

부산울산취재본부 강지원 기자입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