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다음달부터 중국인 단체 관광객에 대한 무비자 정책을 한시적으로 시행할 예정인 가운데, 조현 외교부 장관은 이번 조치를 기쁘게 생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미국 일간지와 인터뷰로 인해 다소 껄끄러워질 수 있는 중국과 관계를 관리하려는 듯한 제스처로 읽힌다.
6일 조 장관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인 'X'의 본인 계정에 "올해 9월 29일부터 내년 6월 30일까지 중국 단체 관광객에 대해 무비자 입국을 허용하기로 결정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 이번 조치가 한중 양국 국민 간 교류를 더욱 활성화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라는 메시지를 남겼다. 그러면서 조 장관은 다이빙 주한 중국대사가 관련 내용을 언급한 것을 리트윗(재전송)하기도 했다.

다이빙 대사는 "오늘 한국측은 9월 말부터 중국 단체 관광객에 대해 무비자 입국을 시행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는 방한 중국 관광객들에게 좋은 소식"이라며 "중국은 지난해 11월부터 한국에 대해 일방적인 무비자 입국 정책을 시행한 후에 중한 간 인적 왕래가 빠르게 증가했다"고 말했다.
그는 "중한 양국은 가까운 이웃으로, 양국 국민들이 자주 왕래하는 것은 이해 증진과 우호 심화에 도움이 된다"며 "양국 정부와 각계가 함께 노력하여 좋은 조치를 잘 시행해 나가고, 양국 간 인적 교류 확대와 민심 상통 촉진을 위한 우호적인 분위기와 여건을 계속 조성해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조 장관의 이날 게시물은 지난 3일 미 일간지 <워싱턴 포스트>와 인터뷰에서 중국에 대해 비판적인 내용을 말한 이후에 나왔다. 당시 조 장관은 "동북아에서 중국은 이웃 국가들에 다소 문제가 되고 있다"며 " 우리는 중국에 '우리는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싶으며 중국이 양자뿐만 아니라 역내 현안에서도 국제법을 준수하는 것을 보고 싶다'는 메시지를 보내려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주한중국대사관은 4일 "중국은 주변국들과 모두 양호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절대다수 주변국도 중국과의 우호 협력을 강화하는 것을 외교의 우선 방향으로 삼고 있다"며 조 장관의 주장에 반박하는 메시지를 내면서 양국 관계가 다소 껄끄러워졌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가 6일 김민석 국무총리 주재로 '관광 활성화 미니정책 태스크포스(TF)' 회의를 통해 중국 단체관광객 무비자 입국 허용 결정을 내렸는데, 이를 계기로 조 장관이 중국에 호의적인 메시지를 보낸 셈이다.
앞서 중국은 지난해 11월 8일 한국을 포함해 9개국의 일반 여권 소지자를 대상으로 15일 체류가 가능한 비자 면제 조치를 실시했다. 이후 11월 22일에는 체류 기한을 30일로 연장해 무비자 조치를 확대 시행하겠다고 밝혔고, 이에 따라 올해까지 관광, 비즈니스, 친지·교류방문, 경유 등의 목적으로 중국에 비자 없이 30일 간 체류할 수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