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故) 채수근 상병 순직 사건 외압 의혹을 수사 중인 이명현 특별검사팀이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의 호주 도피 의혹 관련해 박성재 전 법무부장관과 심우정 전 검찰총장 등의 강제 수사에 착수했다.
채상병 특검팀은 4일 오후 범인 도피, 직권남용 혐의 등을 받는 심 전 총장을 압수수색해 휴대전화 등 관련 자료를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심 전 총장은 지난해 3월 이 전 장관이 주호주대사로 임명됐을 당시 법무부 차관으로 재직하며, 이 전 장관의 출국금지 해제 과정에 관여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특검팀은 박 전 법무부 장관과 이노공 전 법무부 차관, 박행렬 전 법무부 인사정보관리단장, 이재유 전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장 등 법무부 전직 고위 인사들과 조태열 전 외교부 장관, 장호진 전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 등 외교부 인사들에게도 수사관들을 보냈다.
다만 주거지와 과거 사용 사무실을 제외하고 차량과 신체에 대해서만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특검팀은 이 전 장관 임명권자인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도 범인 도피 및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를 적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민영 순직해병특검 특검보는 이날 서울 서초구 특검 사무실에서 정례브리핑을 열고 "참고인으로 여러 사람들 불러서 출국금지 해제 과정, 구체적 경위는 일부 확인한 것들이 있다"며 "당시 여러 관련자들이 이 출국금지 해제에 어떤 역할을 했는지 일부 파악한 내용을 바탕으로 압수수색 영장을 청구한 것"이라고 밝혔다.
윤 전 대통령은 이 전 장관이 채 상병 사건 외압 의혹과 관련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 피의자로 입건돼 출국금지 조치를 받은 후인 지난해 3월 4일 이 전 장관을 전격 호주대사에 임명했다.
이에 법무부는 임명 사흘 뒤 이 전 장관의 출국금지를 해제했다. 이 전 장관은 곧장 출국해 호주대사로 부임했다가 국내 여론이 악화하자 11일 만에 다시 귀국했고, 임명 3주 만인 3월 25일 결국 사임했다.
이에 윤 전 대통령이 호주대사 임명을 통해 이 전 장관을 해외로 도피시키려 했다는 의혹이 제기됐고, 한 시민단체는 윤 전 대통령과 박 전 장관 등을 범인도피 등 혐의로 공수처에 고발했다.
한편 특검팀은 이른바 'VIP 격노'가 있었던 대통령실 수석비서관 회의에 참석했던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당시 경호처장)을 오는 6일 불러 조사할 예정이다. 이미 한 차례 소환 조사를 받았던 조태용 전 국가안보실장도 오는 8일 다시 불러 조사할 예정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