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성희 전 의원 "민주당, 대통령 앞에서는 노동자 위하는 척, 뒤에서는 노조법 후퇴"

"이재명 대통령은 전국 노동현장 다 다니지 말고 법을 바꾸는데 관심가져야"

진보당 강성희 전 의원은 "대통령이 직접 대한민국의 현장을 다 다닐 수 없고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서 법을 바꿔야 한다"면서 "노조법 2,3조의 개정"을 촉구했다.

강성희 전 의원은 "지난 25일 이재명 대통령의 spc 빵 공장 방문은 노동자들에게 큰 희망과 용기를 주었으며 '돈보다 노동자들의 안전과 생명이 더 소중하다'는 그 말이 얼마나 반가운지 몰랐다"고 말했다.

강 전 의원은 그러나 "대통령이 직접 대한민국의 현장을 다 다닐 수 없고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서 법을 바꿔야 한다"며 "

반복되는 중대재해 사망사고에 대해서 국가와 법은 왜 이리 관대하고 하루 6명 1 년이면 2천 명이 죽어나가는데 그 처벌은 언제까지 솜방망이 처벌에 그쳐야 하냐?"고 반문했다.

그는 그러면서 "보다 근본적으로 노동자들 스스로의 대항권을 갖추기 위해 노조법 2,3조를 개정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대통령은 이렇게 노동자들의 안전과 생명을 걱정하고 저임금 비정규직 문제를 얘기하는데 대통령의 뜻을 받들어 국정운영에 협조하고 이재명 정부의 성공을 위해 앞장서겠다는 민주당은 왜 이러냐?"고 따져 물었다.

강 전 의원은 "노조법 2.3조 개정 문제를 놓고 바로 내일(7월28일) 국회 환노위 법안소위와 전체회의가 예정돼 있다"며 "민주당 집권 이후 윤석열 정부 시절 민주당 주도로 통과시킨 노조법 조항을 후퇴시키는 안을 논의하고 있다는 소식이 들려 온다"고 비판했다.

전북의 노동자들을 비롯해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또 진보당 국회의원들은 안호영 국회 환노위원장을 만나 이재명 정부의 노조법 후퇴안을 인정할 수 없다고 촉구하면서 투쟁에 돌입한 상황이다.

강성희 전 의원은 그러면서 "대통령은 이렇게 노동자들을 위해 뛰고 있는데 이런 상황에서 민주노총 출신 노동부장관과 환노위원장은 노조법 2,3조에 한글자라도 후퇴 없이 개정하겠다 그를 위해 직을 걸겠다고 말해도 시원치 않다"고 주장하면서 "이재명 대통령을 앞에서는 노동자 위하는 척 하고 뒤에서는 노조법 후퇴 안을 통과시키는 앞뒤가 다른 대통령으로 만들지 않기를 바란다"고 촉구했다.

▲ⓒ이재명 대통령 SNS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최인

전북취재본부 최인 기자입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