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한국사 강사 전한길 씨 입당을 계기로 국민의힘에서 '극우화 논쟁'이 격화하는 가운데, "친윤석열(친윤)계가 전 씨에 대한 입장을 놓고 분화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친한계 인사인 신지호 전 국민의힘 전략기획부총장은 25일 MBC 라디오에서 "전한길 나비효과"라며 "전 씨 입당으로 당이 굉장히 시끄러워졌다. '친윤'으로 분류되는 분들이 전 씨에 대한 입장을 놓고 분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신 전 부총장은 "인요한 의원은 '다양성 차원에서 전 씨의 입당을 환영해야 한다'고 한 반면, 조은희 의원은 '전 씨는 황교안 당으로 가야 한다'고 했다"며 "친윤이 전 씨를 놓고 분화하는 현상을 눈여겨봐야 한다"고 말했다.
현 국민의힘 대표 권한대행인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전 씨 입당의 의미를 축소하며 "크게 부각시킬 일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송 비대위원장은 SBS 라디오에 나와 "일개 개인이 입당한 사안을 가지고 밖에서 너무 크게 보는 것 자체가 당원, 의원들에 대해 수준을 낮게 보는 것"이라며 "한 사람이 입당했다고 해서 어떤 언행을 가지고, 그 사람의 철학을 가지고 당 전체가 흔들리는 건 아니다. 너무 과하게 평가하는 것 아닌가"라고 말했다.
국민의힘 전당대회 국면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절연, '탄핵 찬성파와 반대파'의 대립이 부각되면서 '친전한길'이라는 용어까지 등장한 데 대해 송 위원장은 "전 씨는 당 대표도, 대통령도 아닌데 왜 ('친'자를 붙여서) '친길', '반길' (나누는지) 무슨 소리인지 이해가 잘 안 된다"고 했다. 그는 "그런 식으로 보는 것 자체가 국민의힘을 하대하기 위한, 폄훼하기 위한 프레임으로 느껴진다"고 불만을 내비쳤다.
하지만 전 씨를 둘러싼 논란은 이미 전당대회에 출마한 각 주자 사이에서 한 번은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핵심 의제가 됐다. 전 씨가 윤 전 대통령의 계엄 선포를 옹호하고, 부정선거 음모론을 확산시켜 논란이 된 만큼, 국민의힘이 전 씨를 당원으로 인정하느냐 혹은 출당 조치하느냐는 주요한 의미를 갖기 때문이다.
당 대표 출마를 선언한 주진우 의원은 CBS 라디오에 출연해 "제가 당 지도부였다면 전 씨 입당에 굉장히 신중했을 것"이라며 "(전 씨 주장대로) 전직 대통령의 복귀를 바라는 건 비현실적"이라고 밝혔다. 주 의원은 "대다수 국민이 (전 씨 주장에) 동조 못 하고 있고, 그 의견을 정치인으로서 수용하는 건 당의 전체적인 전략, 확장성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주 의원도 윤석열 정부 대통령실 법률비서관을 지낸 구 친윤계 인사다.
반면 당권에 도전한 김문수 후보를 돕는 김재원 전 최고위원은 "저는 전 씨 주장에 대부분 동조하지 않는다. 김 후보도 전 씨 주장에 동조하는 것이 별로 없다"면서도 "전 씨가 들어와서 다소 잡음을 일으키고는 있지만, 이 사람도 쫓아내고 저 사람도 쫓아내면 당이 유지되지 않는다"고 했다. 김 전 최고위원은 "극우라고 몰아내고 싸우고 그게 맞는가"라며 "정치 세력의 다양화를 꾀하는 더불어민주당이 우리를 보면 얼마나 한심스럽게 볼까"라고 주장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