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및 '친윤' 성향 검사 유임 등에 따른 인사 논란에 대해 "색깔이 같은 쪽만 쓰면 위험하다"며 "(반대 편을) 다 골라내서 한 쪽만 쓰면 결국 끝 없는 전쟁이 벌어진다"고 입장을 밝혔다. 범여권은 물론 여당 내에서까지 나오는 불만에 대해 '통합' 명분을 내세운 것.
이 대통령은 3일 오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대통령의 30일, 언론이 묻고 국민에게 답하다' 기자회견에서 기자들과의 질의응답 중 인사와 관련 "우리는 최선을 다 했지만 국민들의 눈높이나 야당 또는 우리 지지층 안의 기대치에 좀 못 미치는 그런 측면도 있어 보인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우리의 색깔에 맞는, 한 쪽 편에 맞는 사람만 선택해서 쓸 수도 있다. 그러면 좀 더 편하고 속도도 나고 갈등은 최소화될 수 있을지도 모른다"면서도 "그런데 저는 야당 대표나 여당 대표가 아니고 대한민국 전체를 대표하는 대통령"이라며 "(대통령은) 국민들이 하나로 모일 수 있는 통합의 국정을 해야 한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시멘트·자갈·모래·물 이런 걸 섞으면 콘크리트가 된다. 그런데 시멘트만 잔뜩 모으면 그냥 시멘트 덩어리"라며 "차이는 불편한 것이기도 하지만 시너지의 원천이기도 하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특히 "정치 영역에서는 최근 검찰 인선과 관련해서 이런 저런 지적들이 있다"며, 최근 조국혁신당 등 범여권 진영에서 강하게 반발한 이른바 '친윤 검사' 영전 인사에 대해 직접 언급하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직업 공무원들은 국민이 선출한 대표, 국민의 주권 의지를 대행하는 지휘관에 따라서 움직이는 게 의무"라며 "결국은 최종 인사권자 지휘자가 시키는대로 한 것이다. 비난받는 그들도 사실은 억울하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서도 "공직사회는 '로보트 태권 브이'와 비슷해서 그 자체는 엄청난 힘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결국은 그 조종간에 철수가 타면 철수처럼 행동하고 영희가 타면 영희처럼 행동한다"고 비유하며 "그걸 (공무원들은) 해바라기라고 비난하면 안 된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성향이 다르다, 누구와 관련이 있다, 누구와 친하다더라, 누구와 뭐 어떤 관계가 있다더라, 라고 판단해서 배제하기 시작하면 남는 게 없다"며 "이게 어쩌면 정치보복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야당과의 협치를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 묻는 질문엔 "야당의 불만이 만약 타당하고 합리적인 근거가 있는 것이라면 당연히 그 지적을 수행해서 교정해야 한다"면서도 "해야 될 일과 하지 말아야 될 일 중에 하지 말아야 될 일의 양을 양보한다는 것은 옳지 않다"고 각을 세웠다.
이 대통령은 "양보나 배려가 필요하지 않느냐 하면 저도 그렇게 생각한다", "야당 의원들도 다 국민의 선택을 받은 국민의 대리인"이라면서도 "타협과 야합, 봉합과 통합, 이런 건 좀 구분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양보가 아닌 '야합'의 기준으로는 "'매년 10개를 훔쳐왔는데 앞으로는 8개만 훔치자', '아니면 2개 훔치는 것은 허용하자', 이런 것을 양보할 수는 없고 이런 건 양보라 할 수 없다. 야합이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야당과의 대화와 관련해서도 "자주 만나 뵐 생각", "끊임 없이 대화할 생각", "영수회담 정례화 문제는 고민을 해보겠다"고 강조했다. 다만 이 대통령은 야당을 겨냥해선 "공식 비공개 모임 같은 경우는 공식적으로 만나지만 '드러내지 않고 할 얘기를 다 하자' 그걸 하는 건데 그 중에 일부를 떼서 어디 공격 소재로 쓰거나 하면 그 다음에 만나기가 어렵지 않나"라고 꼬집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취임 30일 소감으로는 "사실 30일이 어떻게 지나갔는지 잘 모르겠다"며 "어쨌든 최선을 다 했는데 저희가 인수위 없이 업무가 시작되다 보니까 사실은 좀 혼선도 많고 준비도 완벽하지 못해서 어려움들이 있다"고 말해 새 정부의 업무상 노력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취임 30일 동안 기억에 남는 성과로는 "눈에 띄는 점은 주식시장"이라며 "정권교체 자체만으로도 우리 국민이 미래에 대해서 약간의 긍정적 전망을 가지게 되고 그게 또 주식시장에 반영돼서 대한민국의 자산 가치도 좀 올라가고...(한 것 같다)"고 했다.
그는 "주식투자를 하시는 분들에 한정되긴 하지만 우리 국민들의 주머니도 약간은 두툼해진 것 같아서 참 다행이다, 그런 생각이 든다"고 자평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