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을 사칭해 허위 공문을 보내고 물품 납품을 요구하는 사기 수법이 전국적으로 기승을 부리고 있어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18일 전북자치도 정읍시에 따르면 전국 자치단체를 사칭한 사기 사례가 급증하면서 실제 피해 건수는 지난해 1건에서 올해 상반기 13건으로 10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사기범들은 주로 공무원을 가장해 소상공인이나 업체에 접근, 물품 구입을 빌미로 견적서를 요청하고, 이 과정에서 확보한 업체 정보를 바탕으로 지자체 명의의 허위 공문을 작성해 납품을 유도하는 수법을 쓴다.
특히 해당 공문에는 실제 지자체에서 사용하는 직인과 양식을 모방한 내용이 포함돼 외관상 진짜 문서처럼 보이는 점이 피해 확산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일부 사기범은 특정 업체에 대리구매를 요청하거나, 급박한 상황을 내세워 물품을 먼저 보내게 만드는 방식까지 동원하고 있다.
비대면 거래가 일상화되면서 전화, 이메일, 문자 등을 통해 피해자가 허위 문서를 진짜로 믿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학수 시장은 "최근 공공기관을 사칭해 물품을 구입하려는 사기가 전국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시민 여러분께서는 낯선 요청이나 공문을 받을 경우 반드시 사실 여부를 확인해 피해를 예방해 달라"고 당부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