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김문수 대선후보가 5.18 광주민주화운동 기념일을 나흘 앞두고 5.18 당시 특전사령관으로 진압을 지휘했던 정호용 전 국방장관을 후보 상임고문으로 임명했다고 발표했다가 당일 밤 이를 황급히 취소했다.
국민의힘은 지난 14일 오후 발표한 선대위 추가 인선에서 정 전 장관을 박희태 전 국회의장, 김종하·이주영 전 국회부의장, 목요상·신경식·유용태 전 헌정회장 등과 함께 후보 상임고문으로 위촉했다고 밝혔다.
정 전 장관은 12.12 군사반란을 주도한 군내 사조직 '하나회' 핵심 멤버로, 전두관·노태우·이희성·황영시와 함께 신군부 핵심 5인방으로 꼽힌 이다. 현재 5인방 중 유일한 생존해 있는 인물이기도 하다. 광주 5월단체와 유족들은 이들을 '광주 5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특히 정 전 장관은 1980년 5월 18일 당시 특전사령관으로, 서울과 광주를 오가며 시민군에 대한 특전사의 진압작전을 지휘했다는 의혹을 받았다. 이후 1981년 대장 진급, 1983년 육군참모총장을 지냈고 1985년 예편 이후 전두환 정권에서 내무장관·국방장관을 역임, 1987년 민주화 이후에도 대구에서 재선 국회의원(13·14대)을 지냈으나, 1996년 과거사 청산으로 12.12 및 5.18에 대한 사법적 단죄가 이뤄질 당시 구속돼 1997년 대법원에서 내란모의 및 내란목적살인 혐의로 징역 7년형을 확정받았다.
대법원은 그의 내란목적살인 혐의에 대해 "공수여단에 대한 행정, 군수지원 등의 지원을 하는 한편, 전교사령관에게 공수여단의 특성이나 부대훈련상황을 알려주거나 재진입작전에 필요한 가발·수류탄과 항공사진 등의 장비를 준비해 예하부대원을 격려하는 등 광주재진입작전의 성공을 위해 측면에서 지원했다"고 판시(대법 96도3376 전원합의체)했다.
항소심인 서울고법 재판부는 "1980.5.17. 10:00 전군주요지휘관 회의를 열어 비상계엄의 전국확대를 건의하는 결의를 함에 있어 피고인 주영복·이희성이 회의를 주도했고, 수경사령관이던 피고인 노태우, 특전사령관이던 피고인 정호용, 육군참모차장이던 피고인 황영시 등이 계엄확대를 적극 지지했고, 특히 피고인 정호용은 전군주요지휘관 회의 소집 전 1980.5.17. 10:35경 육군 참모총장실에서 피고인 이희성에게 전두환 등이 추진하는 시국수습방안을 전군의 일치된 의견으로 유도하도록 협조하여 달라고 부탁한 사실 등을 인정할 수 있다"고 판시했다.
김 후보는 지난 12일 방송 인터뷰에서 "계엄으로 인한 고통을 겪고 있는 국민들께 진심으로 죄송하다"고 12.3 비상계엄 사태에 대한 사과의 뜻을 처음 밝혔다. 계엄 확대를 주장하고 광주시민을 살해한 책임이 법원에 의해 확정된 이를 '계엄 사과' 이틀 만에 김 후보 자신의 고문으로 위촉한 것인 만큼, 사과의 진정성 논란이 일었다.
국민의힘은 결국 14일 밤 11시를 넘긴 시각 언론 공지를 통해 "정 전 장관의 상임고문 위촉을 취소했음을 알린다"고 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