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출산 가산점' 논란…이재명, 직접 진화 나섰다

李, 지지층과 직접 문자 소통 "과정 불문 미안하다"…김문수, 선대위에서 사퇴

여성에게 '출산 가산점'을 부여하겠다고 해 논란을 일으킨 더불어민주당 김문수 의원이 13일 "불편과 심려를 끼쳐드린 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유세부본부장직을 사퇴했다. 이재명 후보는 이 논란에 대해 직접 일부 핵심 지지층에 텔레그램 메시지를 보내 사과와 후속대책 발표를 약속한 것으로 확인됐다.

김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최근 제 개인 메시지가 유출되며 많은 분께 불편과 심리를 끼쳐드린 점을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이번 일에 책임을 지고 총괄선거대책본부에서 맡고 있던 직책을 내려놓겠다"고 밝혔다.

앞서 민주당은 이재명 후보의 10대 공약을 발표하며 '군 복무 경력을 공공기관 호봉 반영'하는 방안을 발표했는데, 이를 두고 군 가산점제를 부활하려 한다는 항의 문자를 받은 김 의원은 "여성에게는 출산 가산점이 있을 것"이라며 "군 안 간 남성은 군 가산점이 없다. 남녀문제가 아니라는 것"이라고 답변한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됐다.

김 의원과 이 유권자가 나눈 대화 문자가 엑스(X·옛 트위터) 등 사회관계망서비스등을 통해 공유되면서 '여성은 임신한 순간부터 직장에서 위태로운데 무슨 출산 가산점이냐', '아이는 20년동안 길러야 하는데 일회성으로 출산 가산점을 어떻게 부여한다는 거냐' 등의 비판 여론이 일었다.

논란이 커지자 민주당 중앙선대위 공보단은 이날 오후 "민주당은 출산 가산점제에 대해 검토하거나 논의한 바 없다"는 공지를 내고 진화에 나섰다.

특히 이 대표가 이 사건과 관련, 실망감을 표한 일부 지지층에 직접 사과 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확인됐다.

이날 다음 카페 '여성시대' 게시글에 따르면, 이 대표는 항의 문자를 보낸 지지자에게 장문의 텔레그램 메시지로 답장을 보내 "'빛의 혁명'의 주역이고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기둥인 그들에게 이런 마음을 들게 했으니 사유나 과정을 불문하고 미안하다"고 했다. 이어 "이 모든 것이 정치를 제대로 못해 경제와 민생을 악화시키고 기회를 희소하게 만든 저같은 정치인들의 책임이다. 미안하다"며 김 의원의 발언에 대해서는 공개 사과 등 문책 필요성을 인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당 관계자는 "이 문제는 여성들의 역린을 건드리는 문제이기 때문에 분주한 유세 상황에서도 후보가 직접 기민하게 대응을 했다"며 "이 대표가 김문수 의원에게도 관련해 사과할 것을 지시했다"고 확인했다. 조승래 선대위 수석대변인도 이날 기자들에게 "(온라인) 커뮤니티에 이 후보가 여성 지지자에게 보냈던 문자가 캡처(갈무리)돼서 돌아다니고 있는 게 사실이냐는 문의가 있는데 사실이다"라며 "후보에게 여러 분이 (문자를) 보냈고 그 중 한 분에게 답변한 것이다. 질문에 공감한다는 취지에서 답변한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이 대표는 지지자에게 곧 여성 공약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이 대표는 그간 '여성'에 대한 언급을 피한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 후보는 지난달 11일 '비전발표회' 후 이어진 기자 질의 응답에서 '광장에서 집회를 주도한 2030여성들에 대해서는 구체적 언급이 없는 것 같다', '여성 문제를 일부러 피하는 것처럼 보인다'는 일각의 지적에 대해 "빛의 혁명 과정에는 모든 국민이 함께했다"며 "국민들이라고 하는 거대 공동체 모두의 성과"라고만 했다. 2030 여성 유권자들을 위한 비전을 묻는 질문에도 "모든 국민과 함께 가야될 일"이라고 구체적 답변을 피했다.

또한 민주당은 지난 대선과 달리 이 후보의 10대 공약에서 '여성'에 대한 공약을 포함하지 않아 반여성주의 성향의 일부 남성 지지자들의 표심을 의식한 것 아니냐는 비판도 제기됐다. 진성준 민주당 중앙선대위 정책본부장은 전날 10대 공약 발표 기자회견에서 '여성 관련 공약이 지난 대선에 비해 축소됐다'는 지적에 "여성 공약이 축소 후퇴했다는 평가는 근거 없다"며 "전체 공약집에 여성 공약 부분이 별도로 담기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보수의 텃밭'으로 불리는 대구·경북(TK) 지역 유세에 나선 13일 경북 포항시청 광장에서 시민들에게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박정연

프레시안 박정연 기자입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