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예비후보가 "충청을 행정·과학 수도로 만들겠다"며 국회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세종 집무실을 임기 내에 건립하겠다는 공약을 발표했다. 또 사회적 합의를 거쳐 국회와 대통령실의 세종시 완전 이전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 예비후보는 17일 페이스북에 쓴 글에서 "세종은 명실상부한 행정수도로, 대전은 세계적 과학수도로 만들겠다. 충북은 미래산업의 중심지로, 충남은 환황해권의 거점으로 완성하겠다"며 "국회 본원과 대통령 집무실의 세종시 완전 이전도 사회적 합의를 거쳐 추진하겠다"고 했다.
그는 "충청은 국토의 중심이자 대한민국의 심장이다. 수도권과 남부권을 잇는 전략적 요충지"라며 "충청의 심장이 힘차게 뛰어야 대한민국 경제의 혈맥이 살아난다"고 강조했다.
2019년 중단된 공공기관 이전도 재개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그는 "'무늬만 혁신도시'가 아닌 실질적 기능을 갖추겠다"며 "대전과 충남 혁신도시에는 지역 경쟁력을 고려한 공공기관을 유치하겠다. 충북혁신도시는 중부내륙 성장거점으로 키우겠다"고 했다.
또 "충청권에 첨단산업벨트를 구축하겠다"며 대전(AI·우주산업)에서 세종(스마트행정), 충북(바이오·반도체·이차전지), 충남(디스플레이)을 잇는 유기적인 첨단산업벨트를 만들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이재명 경선 캠프 총괄본부장을 맡은 강훈식 민주당 의원은 세종으로의 '완전 이전'과 관련해 "국회 본원 이전과 대통령 집무실 세종시 완전 이전은 수도 이전에 가까운 내용"이라며 "국민적 동의와 사회적 합의가 충분히 이뤄져야 가능한 개헌과 맞물려 있어 이후 토론 등으로 후보가 입장을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강 의원은 "국회 세종의사당, 세종 집무실은 임기 내 건립을 오늘 공약한 것이라고 보면 되고 현행법 내 신속히 추진할 예정"이라며, 세종 이전 전 용산 대통령실 또는 청와대 사용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고민이 많이 되는 사안이다. 아직은 우리가 용산에 들어갈지 말지 입장을 정한 것은 없다"고 답했다.
첫 지역 공약으로 충청권을 내세운 이유에 대해서는 "충청은 모든 대통령 선거에서 가장 중요한 바로미터였다"라며 "충청은 대한민국 남부 중심을 잇는 지역, 서울을 잇는 중심이라고 보기에 많은 부분 공들여 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양 진영이 결집한 가운데 상대적으로 특정 계파 색체가 비교적 옅은 충청이 '캐스팅보트' 역할을 할 것으로 보고있다는 분석이다.
이 대표의 충청권 공약 발표로 민주당 예비후보 모두 집권을 전제로 한 '세종 대통령실 시대' 청사진을 발표한 셈이 됐다. 첫 지역일정으로 충청을 택한 김동연 예비후보도 이날 세종시로의 대통령 집무실 이전 공약을 발표했다. 김동연 예비후보는 이날 충북 청주에서 기자들과 만나 "당선이 된다면 바로 다음 날 세종시에서 대통령 근무와 집무를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그곳에서는 이미 대통령 제2 집무실과 국무회의실이 마련돼 있고 제가 경제부총리 때 국무회의실을 이미 여러 번 쓴 경험이 있다"며 "바로 와서 근무하겠다는 약속을 다시 한번 드린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분권형 대통령제를 추진하고 있기때문에 책임 총리와 책임 장관과 함께 세종시에서 집무를 시작하려고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김동연 예비후보는 전날 고향인 충북 음성의 형 자택에서 1박을 한 뒤 이날 청주를 방문해 4.19 학생혁명기념탑 참배, 민주당 충북도당 당원 간감회, 자영업자 구조지도 식당 방문 등 일정을 소화할 예정이다.
김경수 예비후보 역시 지난 13일 세종시청에서 출마 기자회견을 열고 행정수도를 세종시로 완전히 이전하겠다는 청사진을 밝힌 바 있다. 그는 "대통령실을 이곳 세종시로 옮겨오고 새로운 지방시대를 열어야 한다"며 "더 나아가 연방제 수준의 지방자치로 가야 한다. 그래야 대통령이 절대권력이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김경수 예비후보는 한편 이날 경기 고양시에서 세계지방정부협회장인 카트린 스테른펠트 잠메 스웨덴 말뫼 시장과 만나 탄소 저감 및 지방분권에 대해 논의한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