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지도부와 친윤 주류가 12.3 비상계엄 사태 주모자인 윤석열 대통령 옹호 입장을 거두지 않고 있는 데 대해 당내 소신파로부터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다만 이같은 당내 비판에도 주류·지도부 역시 헌법재판소 때리기에 이어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의 증언 신빙성 흔들기 등의 행보를 지속하고 있다.
국민의힘 김상욱 의원은 17일 YTN 라디오 인터뷰에서 자신이 최근 당 울산시당위원장직에서 사퇴한 일을 언급하며 "시당위원장은 추대로 얻은 자리이다. 따라서 민주적 정당성이 없으면 그 자리에 있어서는 안 된다"고 하면서 "'노상원 메모'에 의하면 12.3 사태 당시에 대통령이 영구 집권을 시도했던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도 지금 민주적 정당성을 실질적으로 갖추고 있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노상원의 수첩에 의하면 500명을 체포해서 사살하려 했고, 또 홍장원 메모에 의하면 14명을 체포해서 사살하려고 했다. 사람을 죽이고 민주주의를 무너뜨리려 했던 시도를 어떻게 옳다고 평가할 수 있겠느냐"면서 "이것은 분명한 잘못이고, 분명하게 처벌하고 앞으로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막고 민주주의를 지켜내야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그럼에도 대통령이 거짓 저항을 계속하면서 자리에 연연하고 있다"며 "대통령도 빨리 거짓 저항을 그만하고, 솔직하게 있는 그대로 국민들께 말씀드리고 사과를 구하고 책임을 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 의원은 그러면서 "탄핵 심판은 당연히 인용되어야만 한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그는 "계엄이란 것은 전시 상태일 때 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국가의 최소수단"이라며 "그런데 전시 상황이 아니었고, 계엄의 사유·절차·내용·재량·합목적성 어느 하나 충족하는 것이 없다. 때문에 헌법재판소에서는 당연히 파면 결정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만에 하나 (대통령이) 파면되지 않는다면 나라가 정말 망할 수도 있다"며 "수백만의 시민들이 이 잘못된 결정에 저항할 것이고, 경찰력으로 막을 수가 없으면 다시 군대를 동원할 수밖에 없을 것이고, 비상계엄이 또 이루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그때는 단순 비상계엄으로 끝나지 않을 것"이라며 "(시위대를) 진압할 것이고, 군 안에서도 이에 따르지 않는 반란군이 생길 것이고, 군인과 시민, 또 군인과 군인 사이에 유혈충돌·내전 상태가 될 것"이라고 우려하면서 "만에 하나라도 그런 일이 벌어진다면 저는 목숨을 걸고서라도 제2의 민주화 투쟁에 나설 것"이라고 했다.
김 의원은 당 주류·지도부에서 연일 헌재에 대한 의혹 제기가 나오는 데 대해 "기본적으로 보수의 가치에 맞지 않는 행동"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당장 눈앞에 강성 지지층이 조금 더 모인다, 지지도를 조금 더 올릴 수 있다, 그런 눈앞의 이익 때문에 옳음을 버리고 이해관계에 따라 움직이는 것"이라고 지도부를 비판하며 "(이는) 본질적으로 보수의 가치를 훼손해 길게 봤을 때 보수정당이 보수정당으로서 기능하지 못하게 만드는 치명적인 잘못"이라고 규탄했다.
김근식 서울 송파병 당협위원장도 같은날 기독교방송(CBS) 라디오 인터뷰에서 당 지도부가 극우세력에 기울고 있다는 비판에 대해 "저도 일견 동의한다"며 "(지도부는) 계엄에 대한 진솔한 사과보다는 대통령 지키기에 상당히 많은 메시지를 내고 있고 또 실제로 구치소에 찾아가서 대통령을 면회하고 대통령의 옥중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김 위원장은 "지도부가 공식 참가는 안 하지만 당의 유력 중진 의원들 거의 대부분이 광장에서 벌어지는 탄핵 반대 집회에 매번 참석을 하고 있다"며 "우리 국민의힘이 정말 뭘 믿고 이렇게 하는지 모르겠다"고 탄식했다.
김 위원장은 "탄핵의 결과가 나오면, 그래서 대통령이 파면되기라도 한다면 그다음에는 60일 안에 대선을 치러야 되는데 60일 안에 지금까지 했던 말을 다 바꾸고 또 급변침을 해서 움직이기가 쉽지 않다"며 "탄핵이 인용돼서 대선을 치르게 된다면 그때 이 지도부와 중진들의 말을 어떻게 주워 담을 것인가, 안타깝고 참담하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김기현·나경원·윤상현 의원 등 당 중진들이 윤 대통령을 구치소로 찾아가 면회하거나 탄핵 반대 집회에 참석하는 등의 행보를 보이고 있는 데 대해 "계엄이라고 하는 정말 중차대한 반민주적 폭거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그 이후 중진들의 메시지는 이에 대한 죄책감이나 죄의식은 전혀 없고 탄핵 반대 민심, 그리고 윤 대통령이 주도하는 반(反)이재명 민심에 올라탄 일종의 심리적 내전 상태, 이런 한쪽 진영의 지지를 굉장히 일방적으로 반영하는 것 같다"고 비판했다.
그러나 당 중진들은 이날도 헌법재판소 항의방문 등 기존의 관성을 이어갔다. 김기현·나경원·조배숙·추경호 등 국민의힘 의원 36명은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 헌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편향되고 불공정한 재판", "헌법적 가치를 흔들며 스스로 권위를 무너뜨리는 헌재"라고 주장했다. (☞관련 기사 : 국민의힘 의원들, 헌재 찾아가…"문형배 사퇴하라")
당 중진인 성일종 국방위원장은 이날 민주당 의원들이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 등 군 장성들을 회유하려 했다는 의혹을 규명하겠다는 취지로 국방위 전체회의를 단독 소집하기도 했다. 야당 의원들은 항의 끝에 불참했으나, 성 위원장은 여당 의원들만 참석한 회의를 강행하며 김현태 육군 특전사 예하 707특임단장의 증언을 청취했다.
김 단장은 성 위원장이 '단전이 대통령 지시였느냐. 아니라면 누구 지시였느냐'라고 물은 데 대해 "아니다. 단전 관련해서는 대통령 지시가 일체 없었다. 단전은 특전사령관이 12월 4일 0시30분 대통령 전화를 받고 스스로 생각해낸 것"이라고 이날 국방위 전체회의에서 주장했다. 김 단장은 당시 상황에 대해 "지하 1층만 잠시 불이 꺼졌는데 암흑천지는 아니었다", "자동으로 비상등이 켜졌기 때문에 암흑천지같은 상황은 없었다"며 "제가 00시 35분 (국회 본관) 2층 중앙복도 안쪽으로 진입하다가 소화기(消火器) 공격을 받고 인원들을 물렸고, 사령관에게 상황 설명을 하니 사령관이 '혹시 전기라도 내릴 수 있는지 찾아보라'고 말해 국회 봉쇄를 위한 임무에 필요한 지시라고 이해했다"고 말했다.
여당 국방위원들은 "707 장병들이 민간인에게 폭력을 가하거나 한 게 있느냐", "전원을 내린 것도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단장이 '한 번 전원 내려보라' 한 것 아니냐"(한기호), "민주당에서 대통령의 지시가 있었다는 왜곡 선전선동을 하고 있다"(윤상현) 등의 주장을 쏟아냈다. 김 단장은 이들의 질의에 답변하던 중 "국회의원을 마주쳐도 끌어낼 생각은 하지 않고 오히려 인사를 하지 않았느냐"고 한 의원이 묻자 "제가 두건을 쓰고 있어서 따로 인사는 안 드렸다"고 답해 눈길을 끌기도 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