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의 청년취업정책은 청년들을 모이게 하는 시책인지, 아니면 떠나게 하는 시책인가?
청년들의 전주지역 정착에 가장 중요한 취업운영 목적의 전주기업반 취업지원시책이 일부 업종에 편중되는 등 사실상 영향력이 매우 미비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같은 영향으로 청년들이 전주를 등지면서 전주시의 청년인구감소는 그 속도도 더욱 빨라지고 있으나 전주시의 청년이음프로그램 지원예산조차 쥐꼬리 편성으로 구두선에 그치고 있다.
실제 전주시 인구수는 ▲2021년 65만7269명 ▲2022년 65만1495명 ▲2023년 10월 기준 64만3920명으로 해마다 감소하고 있다. 인구감소 총인원은 2022년도 5774명의 인구 유출이 있었던 반면 2023년 인구는 10월 기준 만 7575명으로 이미 지난해 수준을 넘어서 그 속도가 더욱 빨라지고 있다.
특히, 청년(‘청년기본법’ 제3조에 따라 19세~34세) 인구의 경우 ▲2021년 13만8233명 ▲2022년 13만5493명 ▲2023년 10월 기준 13만2265명으로, 올 10월말 기준 2021년 대비 5968명이 감소하는 등 청년인구의 감소 및 유출이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
최서연 전주시의원은 2023년도 전주시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전주시가 인구소멸에 대한 심각성을 인지하고 올해 청년들이 모이는 전주시를 만들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면서 “그러나, 청년정책 발굴을 위해 운영 중인 △청년희망단의 예산 감액 △청년들의 진로·취업·자기계발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비 감액 △청년 권익증진과 소통·공감·힐링을 위해 운영하는 전주청청페스티벌은 의미가 퇴색 되어 가장 무도회가 되어버리는 등 전주시가 진정으로 청년들을 위해 노력을 하고 있는지 매우 의문시된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청년이음 프로그램 등 청년들을 위한 진로, 자기계발 등의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예산은 총 10억원도 되지 않는 실정이다.
최 의원은 “전주시가 청년의 일자리 정책도, 그리고 청년문화 활성화에도 부족한 상태라는 것을 의미한다”며 “더욱 적극적으로 예산을 투입해 전주시 미래를 이끌어갈 청년들의 정주여건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