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일동안 가르침 없던 대가에게 깨우친 '도예의 길'

[시대에 저항하고 자연에 순응하다] '분청의 대가' 변승훈

'불로 짓는 농사' 염농(焰農). 정확하게는 불로 짓는 '그릇 농사'라는 의미다. 현장 활동가로, 노동잡지 편집장으로, 서울·경기노동위원회 위원장으로, 노동의 세계에 근 30년을 몸담았던 신금호 선생이 은퇴 후 도예가의 길을 걸으며 사용하는 아호다.

1944년 생인 신 선생은 서울대 정치학과 출신 엘리트의 영예를 좇지 않고 '조국 근대화'가 빚어낸 불의에 몸과 머리로 맞서 학생운동과 노동운동의 길로 향했다. 팔순을 바라보는 지금도 '그릇빚음'을 잠시 멈춘 시간에 골프장 미화원으로 일하는 노동자다.

최근 주변의 권유로, 손자에게 꼭 전하고 싶은 이야기를 자서전에 꾹꾹 눌러 담았다. 젊은날 정면으로 마주했던 군사정권 시대상, 사회에 나와 겪었던 척박한 노동 현장의 기억을 농사짓듯 기록했다. 시대에 저항하고 자연에 순응한 어느 '백발 노동자'가 견뎌 살아온 이야기를 연재한다. 편집자

☞ 지난 연재 보기

안성에서 정을 나눈 사람은 마을 사람을 빼곤 몇 안 되었다. 대표적인 한 명은 분청 도자기의 달인 승훈 아우였고, 다른 한 명은 일찍이 작고한 인권변호사 조영래의 동생이자 명지대학 도시공학과 교수인 조중래였다. 미리내 성지의 전담 신부인 강정근 신부와 100년 역사를 지닌 구포성당의 주임신부이자 나에게 세례를 베푼 이상돈 신부, 그리고 화백 이반 교수, 손호철 서강대 교수와 교류했다. 더 보태면 판화가 후배 유연복과 그림 동화가 이억배 내외가 전부였다.

지금은 많은 사람들이 내 곁에 없지만, 그때 그 시절은 한걸음 떨어져 살아도 모두가 형제의 마음으로 다정히 지냈다. 물론 언제 어디를 가든 누구와 만나든 무슨 일을 하든 나는 아내 김 화백과 한 몸으로 행동했다.

우리는 조중래 부부, 강 신부와 함께 노래했고, 한번은 지리산 화엄사를 거쳐 이성계가 머물렀던 먼 남쪽나라 해남 땅 두륜산 대흥사로도 여행했고, 미사주건 막걸리건 술도 가리지 않았다. 조중래 교수는 술을 못했으나 스스럼없이 늘 함께 어울렸다. 우리는 만나면 마음이 편안했다. 말이 드문 나도 이들과는 무슨 말이든 했다. 뜻이 그리고 마음이 통했기 때문이었으리라.

모두가 자기 일에 충실한 형제들이었고, 세속을 초월한 자유인들이었다. 그중 나는 승훈 아우를 통해 도예세계에 나의 미래를 걸기로 작심했고, 언제 내 마음을 보일까 기회를 엿보고 있었다.

어느 땐가 눈 덮인 산길을 걸었다. 왠지 눈물이 고였다. 내 마음이, 밤새 내린 흰눈에 덮여 온통 새하얀 평원처럼 광야처럼, 텅 비워졌다. 외떨어진 목로집이라도 찾아들고 싶었다. 따듯한 불 옆에 붙어 앉아, 따끈한 막걸리 한잔으로 빈 마음을 축이고 싶었다. 어릴 때 살던 옛 산골 산촌 마을 모습이 하나하나 마음에 그려졌다. 가자! 가자! 이대로 가자, 하늘 세계 말고는 이대로 가는 수밖에 더는 없지 않은가.

오랜 숙고 끝에 나의 방향을 정했다. 글쓰기와 그릇빚기로 큰 방향을 정했다. 글쓰기는 나 혼자 정할 수 있는 일이었지만 그릇빚기는 분청의 달인 승훈 아우의 도움을 얻어야 했다.

'그릇빚음' 길을 찾다

2000년도 말 어느 늦여름이었던가. 변승훈 아우 내외와 충주호로 바람 쐬러 다녀오는 길에 앙성온천에 들러 느긋이 뜨거운 온천물에 몸을 뉘이니 몸도 마음까지도 느긋이 풀렸다. 승훈이도 뜨거운 물에 몸을 뉘이고 천천히 손을 휘젓고 있었다. 이때다 싶었다. 승훈이를 불러 귓속말하듯 조용히 운을 뗐다. "승훈아, 내 한마디 들어주게. 나에게 그릇빚기를 가르쳐주게나. 열심히 할 게!"

못들은 척 아무런 대구가 없었다. "아, 온천물이 뜨거워 좋다!"만 연거푸 하였다. 앙성마을 식당에 들러 점심식사를 했다. 그곳에서도 아무런 말없이 예사 이야기만 했다. 나도 더 이상 도자기 얘기를 꺼내지 않았다. 닷새쯤 지나 집으로 전화가 왔다. 지금 즉시 자기 작업장으로 오란다. 급히 길을 날듯이 달려갔다. 들려주는 말이 자기 작업장 한쪽을 빌려줄 터이니 내일부터 작업을 하란다. 그러나 가르쳐주겠다는 말은 없었다.

다만 덧붙이는 말은 있었다. 하나, 이 시간 이후로는 책을 보지 말란다. 둘, 친구든 누구든 아무도 만나지 말란다. 셋, 다른 차 말고 시골버스를 타고 다니란다. 넷, 시간을 철저히 지키란다. 다섯, 점심은 싸가지고 다니란다. 이 모두를 반드시 지키란다.

그의 작업장은 이층으로 지을 만큼 천장이 높고 무척 넓었다. 그때 승훈이는 커다란 소나무 그림을 크고 넓은 도자조각 하나하나로 이어 지어내고 있었다. 수천만 원짜리 작업이었다. 그 큰 작업장의 한 점 한 모퉁이를 내게 작업장소로 내 주고 청자흙 큰 덩이 하나와 손물레 하나를 내밀고는 예술책 속의 물잔 하나를 만들게 하였다. 그리고 백 날 동안 더 이상의 다른 지시는 없었다. 가르침도 없었다. 마냥 내쳐 두었다.

나에겐 내가 지켜야 할 비밀 하나가 생겼다. 승훈이가 자리를 비운 어느 날 그의 아내 양정언이 작업기술 하나를 가르쳐 주겠단다. 흙으로 풀을 만드는 방법이요 이겨진 풀로 흙가래를 이어붙이는 방법이었다. 가르쳐 주면서 하는 말이 남편 몰래 알려주는 것이라서 남편에게 들키는 날이면 날벼락이 떨어진단다.

나로서는 엄청난 깨달음이었다. 승훈이는 남의 것 베끼기가 아니라 처음부터 창조, 창작의 세계로 나를 인도하려는 것이었다. 승훈이가 가르쳐 주거나 전수해준 기술은 따로 없지만, 자기가 하는 일을 있는 그대로 보여준 것이 전부였다. 그것이 나에겐 곧 배움의 기회요, 스스로 깨우쳐 나아가는 분명한 길이었다.

승훈이는 작업하는 모습과 작업과정 하나하나를 조금도 숨기지 않았다. 나는 훔쳐보지는 않았다. 언젠가는 가르쳐 주겠지 하는 기대가 있었기 때문이다. 승훈이가 없는 날에는 작업장 구석구석으로 내 몸이 스며들고 있었다. 춥지 않은 때에도 하루 종일 난로불을 꺼뜨리지 않았다. 그 큰 작업장 구석구석을 청소하고 밖에 있는 옛 등가마도 말끔히 청소했다. 작업장 안팎에 널브러진 나무판들을 정리하고 정돈했다. 승훈이가 시킨 일이 아니라 승훈이 없는 틈에 나 스스로 한 일이었다.

승훈이의 작업 한 가지만은 도울 수 있었다. 초벌되어 나온 기물을 맑은 물로 씻어내는 단순한 노동이었다. 초벌된 기물들은 물에 휘저어도 깨지거나 갈라지지 않아 신기했다. 생각보다 무척이나 가벼웠다.

지나가는 사람들은 작업장을 가리켜 아무도 없는 빈 집이라고들 했다. 그만큼 나는 하루종일 내게 내준 자리에 꼼짝 않고 앉아 조용히 작업에만 집중했다. 그렇게 지내는 동안 그릇 여러 개를 만들었다. 항아리도 만들어 보고, 여러 가지 형태의 컵도 만들어 보았다. 심지어는 포도주병도 만들어보려 했다. 많아야 하루 한 그릇도 만들지 못하는 날이 허다했지만 주무르고 또 주무르기를 쉬지 않았다.

약속한 일은 철저히 지켰다. 아침 일찍 도시락을 챙겨 들판을 걸어 아무도 없는 시골길 신작로에 나가 버스를 기다렸다. 점심은 늘 혼자 먹었고 저녁이 되면 작업장을 나서서 버스를 탔다. 누구를 만날 짬도 없었다. 일요일이면 김 화백과 함께 안성 성당 미사에 참례하는 게 외부활동의 전부였다.

이렇게 반복하면서 나는 나를 새로이 세웠다. 세 가지로 축약했다. 하나, 나에겐 도자 일이 어울린다는 것이었다. 평소에도 나는 조용하고 차분했다. 무엇이든 혼자 하는 일도 익숙해져 있었다. 산길도 혼자 다니고 있지 않은가. 나의 천성 성품이 그랬다. 둘, 도자일 방향이었다. 청자도 분청도 아닌 백자로만 그릇을 만들겠다고 추슬렀다. 내 성품이기도 하고, 흰 그릇 바탕에 청결한 색그림 한 점! 얼마나 황홀한 일인가! 셋, 자동 전기물레가 아닌 손물레를 돌려가며 손으로만 그릇을 빚겠다는 것이었다. 자동물레를 돌린다면 하루에 백 개도 너끈히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나는 천번만번 눌러가며 하루에 그릇 하나를 빚어내는 게 더 좋았다.

아무런 간섭 없이 나 홀로 만들어낸 나만의 손빚음 그릇! 내가 갈 길이 정해진 것이다. 더는 없었다. 마음을 완전히 비워냈다.

▲ 2010년 생활자기전에 전시된 신금호 선생이 빚은 자기들 ⓒ손호철

<계속>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신금호

학생운동, 노동운동을 거쳐 서울·경기노동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현재는 안성에 정착해 도예가로 제2의 인생을 지내고 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