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해안선에 따라 해양쓰레기가 밀려와 그 처리에 골머리를 앓고 있는 가운데 전북지역도 최근 5년 동안 해양쓰레기 수거량이 무려 1만 9360톤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병훈 위원장이 해양환경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해양쓰레기 발생현황’에 따르면 해양폐기물 발생량은 2018년 기준 연간 14.5만톤(초목 포함)으로 나타났다. 육상 기인이 65%(9.5만톤), 해상 기인이 35%(5만톤)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됐다.
해안가로 밀려온 쓰레기는 지자체에서 관리하기 때문에 지자체 입장에서도 해양쓰레기로 인해 골머리를 앓고 있다. 광역자치단체 중 최근 5년간 쓰레기 수거량이 가장 많은 곳은 전라남도 16만 6387톤(36.5%)으로 가장 높고, 제주특별자치도 8만 1655톤(17.9%), 충청남도 6만 3346톤(13.9%), 경상북도, 경상남도, 인천광역시, 전라북도, 강원도, 울산광역시, 경기도, 부산광역시 순이다.
전라북도의 경우 2019년 3,289톤, 2020년 4274톤, 2021년 2971톤, 2022년 5432톤, 2023년 3394톤으로 5년 동안 수거한 해양쓰레기는 총 1만 9360톤에 달하며 매년 평균 3872톤이 수거되고 있다
해양쓰레기 발생량 조사에 대한 별도의 법적 근거가 없어 매년 조사하고 있지는 않으나, 해양쓰레기 관리기본계획 수립 시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최근 5년간(18년~22년) 해양환경공단에서 수거한 해양쓰레기는 589,408톤으로 나타났고, 2019년~2023년 10월 기준 5년간 해양침적폐기물은 16,396톤, 오염퇴적물은 625,599㎥ 정화했다.
전국 수거량이 총 45만 5521톤으로 그 양이 매년 증가하고 있어 재정상황이 열악한 지자체에서는 해양쓰레기 수거 관련 국비 지원 확대의 목소리가 클 수밖에 없다.
우리나라 연안과 외해역 및 해양생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해양폐기물은 선박사고 유발, 어업 생산성 저감, 생태계 파괴, 관광자원 및 경관 훼손, 대규모 수거·처리 비용 등이 발생하여 해양쓰레기의 근본적인 발생원인을 파악 후 예방해야 하는 실정이다.
더욱이 2024년 해양수산부 예산안을 살펴보면 해양플라스틱 쓰레기 저감을 위한 기술 개발사업(R&D) 예산이 2023년 예산에 비해 47.9% 적게 편성된 것으로 나타나 지자체마다 해양쓰레기 수거대책에 비상이 걸렸다.(2023년 63억 9600만원→2024년 33억 3500만원 △47.9)
소병훈 위원장은 “해양쓰레기 저감을 위한 연구예산이 줄어들면 해양쓰레기 수거 장비기술 개발·처리기술 개발·수거지원 기술 개발 등 해양폐기물의 환경훼손을 줄이고 처리비용을 절감하는 해결책을 찾기 힘들다”며 “해양수산부는 과학적이고 신속한 수거방법을 찾아 깨끗한 해양환경 보전 및 안전한 수산물 관리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