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재생산지수 2.23 넘어...코로나 환자 1200명 나올 수도"

기모란 교수 "국민 자발적 동참 절실...정부는 공공의료 강화해야"

수도권을 중심으로 코로나19 3차 유행 상황이 심각해지면서 결국 26일 전국에서 583명의 신규 확진자가 나왔다. 3월 1차 유행 이후 가장 큰 규모다. 수도권 확진자만 415명(해외 유입 13명)이다.

상황이 이어질 경우 수도권에서만 1200명이 넘는 확진자가 나올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코로나19 상황 장기화에 따른 시민의 피로도가 커진 만큼, 정부가 거리두기 격상으로 현 상황을 통제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현 상황을 두고 일각에서 거리두기 추가 상향 조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으나, 정부 조치만으로는 한계가 분명한 상황으로 해석된다.

기모란 대한예방의학회 코로나19비상대책위원장(국립암센터 교수)의 지적이다.

기 교수는 이날 <프레시안>과 전화 인터뷰에서 현 상황이 아직 정점이 아니라고 판단했다.

기 교수는 "상황이 정점인지 아닌지는 추후 감염자 수가 줄어드는 상황까지 확인해야만 알 수 있다"며 "자체 모델링에 의하면 현 상황이 이어질 경우 하루 1200명이 넘는 확진자도 나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기 교수 팀이 지난 11월 11일부터 20일까지의 확진자 상황을 기준으로 감염 추이를 모니터링한 결과, 해당 기간 평균 감염재생산지수는 전국 기준 2.03, 수도권 기준 2.23에 달했다. 한 명의 감염자가 2명이 넘는 추가 감염자를 만들어 기하급수적으로 감염 상황이 확산한다는 뜻이다.

기 교수는 "이 같은 상황이 유지된다고 가정하면 2주 후 수도권에서만 1200명이 넘는 감염자가 나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최근 들어 감염 상황이 더 심각해진 만큼, 기 교수의 지적을 고려하면 최근 감염재생산지수는 더 올라간 것으로 보인다. 11월 20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363명이었던 반면, 이날은 500명이 넘는 확진자가 나왔다.

다만 확진자의 대규모 증가 후 사람들이 거리두기에 나선 상황까지 고려하면, 앞으로 상황은 유동적으로 판단된다.

감염 상황이 빠른 속도로 심각해짐에 따라 일각에서는 방역당국이 수도권에 내린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수준을 더 끌어올려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감염자 추적 등 사후 대책만으로 현 상황을 통제하기가 불가능한 만큼, 사람들의 거리두기 수준을 정부가 인위적으로 더 떨어뜨려야 한다는 이유다. 기 교수는 그러나 현 상황에서 거리두기 강화만으로는 뚜렷한 성과를 내기 어렵다고 평가했다.

기 교수는 "이전 감염 양상을 보면 정부가 거리두기 단계 상향에 나서기 전에 사람들이 알아서 움직임을 줄이기 시작했으나, 최근에는 그 같은 반응 수준이 떨어졌다"며 "사람들의 피로도가 커졌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 같은 상황에서 거리두기 강화만으로 감염 통제 효과는 뚜렷하지 않다"며 "지금은 굉장히 작은 (일상의) 소모임에서 확진자가 나오는데, 정부가 식당 영업을 밤 9시 이후 통제한다고 해서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고 기 교수는 강조했다.

즉, 시민의 자발적 거리두기 동참 없이 정부 지침 강화만으로는 현 상황을 통제하기 어렵다는 뜻이다.

기 교수는 특히 양성 환자 확진율에 주목해야 한다고 밝혔다. 과거 한국의 방역 시스템이 잘 작동하던 당시 확진율은 1% 안팎으로 통제됐으나, 최근에는 2%를 크게 웃돌고 있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검사건수가 확진자를 크게 웃돌았으나, 최근에는 상대적으로 검사량이 줄어들었다고 볼 수 있는 부분이다.

기 교수는 "무증상자가 많은 코로나19의 특성을 고려하면, 역학적 연관성이 없는 무증상자라도 쉽게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해 검사량을 크게 늘려야 한다"며 "서울역 등 사람이 몰리는 곳에 전화번호만 기재하면 누구나 검사받을 수 있도록 정부가 조치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 같은 조치 없이 현 상황이 통제되지 않아 "앞으로 2~3주간 감염자 수가 확실히 감소하지 않은 상태로 수학능력시험과 논술시험 등 (젊은층의 이동량이 크게 증가하는 국가적 이벤트가 발생한다면) 감염 상황이 더 악화할 수 있다"고 기 교수는 우려했다.

기 교수는 현 상황 통제와 별개로 정부가 공공의료 강화에 대형 투자를 해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기 교수는 "현 상황을 넘어가도 4차, 5차 유행이 또 올 수 있다"며 "사태 장기화에 대응할 근본 역량은 결국 공공의료 치료 능력 강화에서 결정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한국의 현 의료 상황은 "민간의료가 90%를 차지"하는데 "민간병원은 코로나19 환자를 꺼리고, 공공의료 수준은 부족해 코로나19 사태 장기화에 따른 대응 역량이 떨어진다"고 기 교수는 지적했다.

정부의 공공의료 투자가 부진한 상황이 장기적으로 결국 코로나19 대응 능력을 떨어뜨릴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기모란 국립암센터 교수. ⓒ연합뉴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이대희

독자 여러분의 제보는 소중합니다. eday@pressian.com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