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점에서는 정부가 청년들을 혹시 좀 불편해 하시는 것 아닌가?"
87년생 정의당 장혜영 의원이 문재인 대통령의 청년의날 기념사를 "연설 자체가 잘 구성돼 있지만 심장에 와닿지 않는다. 어떤 의미에서는 조금 공허하다"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은 연설에서 공정을 37차례나 언급하며 청년들의 마음을 헤아리려 했지만, 청년 분노의 핵심은 '공정'이 아닌 '불평등'이라는 것이다.
장 의원은 21일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정부가 공정의 의미를 잘못 해석한다든가 비판을 하시는 분들은 그렇게 말씀하시지만 전 그게 해석의 문제라기보다 공감의 문제라고 생각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문재인 정부가 청년들을 '불편해 한다'고도 했다. 그는 "뭔가 모르면 불편하지않느냐. 이 사람을 잘 대해주고 싶어도 어떻게 잘 대하는 게 뭔지 모르면 약간 불편하게 느껴진다. 오히려 더 격식 있게 대하고 그런 느낌"이라고 설명했다.
장 의원은 문 대통령이 '공정'을 37차례나 강조한 지난 19일 청년의날 기념사에 대해서 "공정이라고 하는 키워드가 청년들한테 중요하구나 라고 하는 데까지는 알고 계시고 굉장히 의식하셨지만, 오히려 반복하면 할수록 왠지 더 추상적이게 되는 느낌"이라고 말했다.
그는 청년들이 '공정'을 외치는 기저에는 '불평등'이 있다고 밝혔다. 장 의원은 "정말 모든 청년들이 단지 공정하지 않아서 문제라고 느끼고 있는 걸까"라며 "그것보다 훨씬 본질적인 불평등에 대한 얘기들이 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장 의원은 '공정'은 규칙의 언어라면, '불평등'은 그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결과라고 강조했다. 그는 "그 규칙이 규칙대로 잘 이행되었다 라고 하는 게 공정의 느낌이라고 한다면 불평등은 그래서 그 과정을 통해서 만들어진 결과가 뭐냐 라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사실은 운동장에 들어가기 전에 게임 다 결정돼 있는 것 아니냐, 누구 밑에서 어느 부모 밑에서 태어나느냐가 사실은 경기가 시작되기도 전에 그 경기 결과를 다 결정하고 있는 것 아니냐"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의 연설중 '안전하다고 느낄 수 있을 때 담대한 도전을 할 수 있습니다'라는 구절에 대해 "우리 사회가 튼튼한 안전망이 있다, 떨어지더라도 바닥이 있다, 받쳐줄 수 있다, 이런 시그널을 주는 게 차라리 훨씬 더 청년들께 희망을 줄 수 있을것 같다"며 "사회적 안전망이라고 하는 게 기능하고 있지 않으니까 정말 죽을 힘을 다해서 올라가는 이 사다리에서 한번만 떨어지면 다시 올라갈 수 없다고 많은 청년들이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장 의원은 문재인 정부가 출범 당시 세운 100대 과제를 다시 점검해보는 것을 제안했다. 그는 100대 과제 중 하나인 '장애등급제 폐지'를 예로 들며 "단계적 폐지에 나아가고 있지만 사실상 이름만 폐지되고 그 등급제가 폐지됐기 때문에 보완되어야 되는 예산적인 부분들, 이런 부분들이 사실 많이 반영이 안 됐다"며 "코로나 위기를 통해서 재난이 약자들한테 더 가혹하다고 하는 것에 국민적인 공감대가 어느 때보다 높기 때문에 장애 당사자들이 방치돼서 죽어가지 않도록 하는 예산을 충분히 통과시키거나 배정하거나 이런 것들이 중요한 시그널일 수 있다고 본다"고 했다.
전체댓글 0